이지은기자
2020년대는 '비혼 시대'라 불러도 과언이 아니다. 만 19세에서 34세의 청년 10명 중 8명은 결혼하지 않았다.
정부가 지난해 7월부터 청년 1만5000명을 대상으로 방문 면접 조사를 한 결과다. 미혼 청년 중 24.7%는 결혼 계획이 없다고 답변했다. 출산 계획이 없다고 말한 청년도 36.7%에 달했다. 이는 시대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
'혼자 사는 삶'을 찬양하는 TV 프로그램이 지상파 최고 인기 프로그램으로 떠올랐다. 대중의 인기를 한몸에 받는 아이들과 인플루언서가 비혼을 선언하는 시대. 심지어 결혼식을 대체하는 '비혼식'이 유행을 타고 있다. 비혼 직원을 위해 축하금을 도입하는 기업도 생겨났다.
비혼을 향한 장밋빛 미래만 그려지는 것은 아니다. 결혼 적령기의 성인이 비혼을 선택하는 것에 관한 사회의 불편한 시선. 자녀가 서른 살이 넘었다면 '당연히' 가정을 꾸려야 하고, 아이를 낳아야 하는 게 아니냐는 부모 세대의 보편적인 정서. 비혼자를 향한 복지 증대에 관한 비판도 있다. 비혼을 선언한 뒤 결혼한 이를 향해 '신념을 지키지 않았다'는 다른 관점의 비판 역시 이어진다.
비혼의 삶을 살 수밖에 없는 '비자발적 비혼'을 선택한 이에 대해 무능력한 인물로 바라보는 시각도 있다. 미혼이라는 용어가 비혼으로 대체돼 쓰이고 있는 현실. 결혼을 하지 않은 사람은 정말로 아직 어른이 아닐까. 드라마에서 언젠가 접했을 것 같은 이런 물음은 우리 사회에 엄연히 존재하는 정서와 무관하지 않다.
비혼 라이프를 선택해도 넘어야 할 산은 남아 있다. 주변으로부터 이어지는 '비혼의 진정성'에 관한 질문들.
누가 봐도 매력적인, 어쩌면 첫눈에 푹 빠질 수도 있는 그런 이성이 청혼을 했을 때 비혼을 할 것인지에 관한 물음. 현실에서는 박보검이나 아이유의 청혼을 받을 일이 거의 없다. 하지만 누가 그렇게 물어본다면 한번쯤 고민에 빠질 수도 있다. '만약에 그렇다면, 나의 대답은….'
대답은 Yes일 수도, No일 수도 있다. 비혼은 반드시 굳은 신념을 기반으로 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비혼은 결혼을 하지 않겠다는 신념을 가진 독신주의자는 물론, 독립과 사별 등 다양한 이유로 '현재 결혼하지 않은 상태'를 광범위하게 지칭하는 개념에 가깝다.
경기도여성가족연구원의 '경기도 비혼여성 공동체정책 개발을 위한 사례연구'에 따르면, '비혼'이라는 용어가 처음 쓰인 것은 1998년 서울 여성의전화 싱글여성 모임에서다. ‘결혼은 필수가 아니라 선택’ 이라는 인식에서 시작된 이 개념은 여성주의자들을 거쳐 2000년대 초 반 학계로 퍼져나갔고. 자발적인 결혼 포기인 '독신' 뿐만 아니라 수동적 결혼 포기인 '미혼'도 포괄하는 용어로 자리 잡게 됐다.
송제숙 토론토대 인류학과 교수는 저서 '혼자 살아가기'에서 비혼의 의미를 "결혼에 연연하지 않는"으로 정의했다. 청주시 청년들을 심층 면접 조사한 장우정씨는 자기 석사논문 '청년 세대의 비혼 원인과 삶의 전략으로서의 개인화'에서 "대부분의 비혼 청년들은 결혼을 포기하거나 거부했다고 단정할 수 없는, 이 경계를 넘나드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진단했다.
비혼자를 지나치게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시선도 문제지만, '화려한 싱글라이프' 등 소비 주체로만 소모하는 것도 경계해야 한다는 시각도 있다. 대중 매체에서는 연예인을 내세워 1인 가구의 화려한 삶을 방영하고 그들의 라이프 스타일을 판매한다. 하지만 현실의 비혼 1인 가구 상당수는 주거 불안과 저소득의 삶을 살아가고 있다.
서울시가 지난해 발표한 '1인 가구 실태조사'에 따르면 1인 가구의 30%가 월급의 25~30%를 월세로 지출한다. 1인 가구의 69.3%가 중위소득 100% 이하에 분포했다. 혼자 살면 풍족한 삶을 누린다고 단정하기 어렵다는 점이 통계로 드러난 셈이다.
비혼의 삶이 우리 시대의 현실이 된 이상, 그들의 삶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비혼자들을 새로운 가족 형태의 하나로 포괄하는 법적 제도가 필요하다는 주장 등이 대표적이다. 결혼하지 않아도 가족이 될 수 있는 '생활동반자법' 등은 국회 법안으로 발의된 바 있지만, 실질적인 논의로 이어지지는 않고 있다.
허민숙 입법조사처 보건복지여성팀 입법조사관은 "'혼자로도 괜찮다'는 사회적 시각이 보편화되고 있는 만큼, 개인이 어떤 선택을 하든 충분한 권리를 보장받을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며 "법률혼 체제에 편입돼야만 혜택을 볼 수 있는 현 제도로는 삶의 다양성을 담아내기 힘들다"라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