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희동 1000가구, 신월동 2000가구 대단지…공공재개발도 잰걸음

연희동 721-6, 신월7동2구역 정비계획안 입안 작업 중
서울시 심의 거쳐 내년 상반기 중 확정 예정

서울 양천구의 빌라촌 전경. /문호남 기자 munonam@

[아시아경제 김혜민 기자] 서대문구 연희동에 1000가구, 양천구 신월동에 2000가구의 대단지 아파트가 들어선다. 지형적 어려움과 고도 제한 등 각자의 이유로 재개발이 어려웠던 지역이다. 하지만 공공재개발 사업지로 선정되고 속도가 붙으면서 1년8개월 만에 정비계획안을 마련했다.

9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연희동 721-6, 신월7동 2구역은 최근 공공재개발 정비구역 지정 및 정비계획 수립안을 공람공고하고 주민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이달 말 의견 청취를 끝내면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안이 확정되는 구조다. 내년 상반기에는 절차가 완료될 것으로 전망된다.

공공재개발은 노후화돼 재개발이 필요하지만, 사업성이 떨어져 속도를 내지 못하는 지역의 주거 여건을 개선하겠다는 취지로 만들어졌다. 문재인 정부에서 시작했지만 현 정부에서도 이를 계승하고 있다.

정비계획 입안 절차를 진행 중인 이들 구역은 공공재개발 사업방식에 딱 맞아떨어진 사례다. 저층 노후 단지인 홍연아파트와 노후 빌라가 밀집된 연희동 721-6구역은 제1종일반주거지역과 제2종일반주거지역(7층 이하)으로 구성돼 사업 추진에 어려움이 많았다. 특히 구역 내에 30m 정도의 고저 차를 둔 고지대가 있어 재개발 추진 자체가 쉽지 않았다. 용도지역 제한과 층수 규제의 대안을 찾기 어려웠던 탓이다.

하지만 공공재개발 대상지로 선정된 후 제1종일반주거지역 일부를 2종일반주거지역으로 상향했고, 용적률도 높이면서 사업성을 높였다. 이 구역은 최고 25층, 1024가구로 재탄생할 예정이다.

신월7동 2구역 역시 공항과 가깝다는 이유로 고도 제한이 있어 그동안 재개발이 쉽지 않았지만, 용도지역 상향과 법적상한용적률을 높일 수 있게 되면서 사업에 속도를 났다. 고도 제한 이유로 제2종일반주거지역 7층 이하 규제는 유지됐지만, 최고 12층, 2202가구 대단지로 탈바꿈할 예정이다. 기존 대비 653가구가 늘어난다.

이 외에 지하철 2·5호선 사이에 있어 입지가 좋은 서대문구 충청로1구역도 정비계획안에 대한 주민 의견 절차를 밟고 있다. 이 구역은 최고 30층, 297가구로 탈바꿈된다. 업계 관계자는 "일부 구역에서는 비상대책위원회가 구성되는 등 여전히 반대 목소리가 있지만, 2년 정도 시간이 흐른 만큼 주민동의율이 높은 지역은 하나둘 성과가 보이기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혜민 기자 hmin@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김혜민 기자 hmi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