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관주기자
[아시아경제 이관주 기자] 무릎십자인대 파열은 운동 선수들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부상으로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일반인이라고 해서 안전하지만은 않다. 우리나라의 연간 무릎십자인대 파열 환자는 3만~4만명 수준을 보이고 있다. 특히 다양한 스포츠를 즐기는 인구가 늘면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십자인대는 양쪽 다리 무릎 관절에서 십자 모양으로 교차하며 관절을 지탱하는 두 인대를 말한다. 관절 중심을 잡아주고 경골이 미끄러지지 않게 앞에서 지탱해주는 전방 십자인대와 뒤를 받쳐주는 후방 십자인대로 나뉜다. 십자인대 파열은 주로 격한 운동과 일상생활 중 무리한 육체 활동 중 급격한 방향 전환으로 무릎이 뒤틀려 발생한다.
파열 원인도 감속 및 방향전환, 발을 고정한 채 무리한 회전, 점프 후 어색한 착지, 런닝 중 갑자기 멈춤, 축구·농구처럼 상대방과 물리적 충돌이 있는 경우 등 다양하다. 이용준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정형외과 전문의는 "증상은 무릎이 뒤틀리면서 내부에서 인대가 뚝하고 끊어지는 것을 느낄 수 있으며 통증으로 보행이 불가능할 수 있다"며 "무릎 내 관절 출혈과 부종 또는 검푸른 멍이 생길 수 있고 손상이 의심되면 무릎 관절을 반대 쪽 무릎과 비교하며 진찰 하고 X-ray 및 MRI 검사로 진단한다"고 설명했다.
치료는 환자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활동이 적은 고령층과 관절 내시경 및 MRI 소견에서 50% 미만의 부분파열과 불안정성이 없다면 재건수술은 고려하지 않는다. 파열 초기는 관절 안정을 위해 냉찜질을 해줘야 하며 압박 붕대를 하고 다친 다리를 심장 부위보다 올려 부종을 약화시켜야 한다. 십자인대가 부분 파열되고 불안정성이 심하지 않으면 근력 강화 훈련, 보조기 착용, 석고 고정 등 보존적 치료와 재활치료를 병행할 수 있다. 만약 전방 십자인대가 완전히 파열됐다면 십자인대 재건 수술을 하게 되는데 환자 본인의 슬개건, 반건양건, 박건 혹은 타인에게 기증받은 아킬레스건과 슬개건으로 이식술을 시행한다.
특히 십자인대 파열 환자들은 무릎 골관절염 발생 위험이 일반인보다 높아 주의가 필요하다. 인대 재건 수술을 받은 경우에도 관절염이 발생할 수 있다. 만병의 근원인 흡연과 과음은 삼가야 하고, 평소 무릎관절질환이 있다면 계단보다는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사용을 권유한다. 예방을 위해서는 너무 과격한 운동보다는 자신에게 맞은 적절한 운동법을 선택하고, 무엇보다 운동 전 충분히 몸을 풀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 전문의는 “수술 여부와 상관 없이 재활로 무릎 관절 근력과 운동범위 회복으로 일상생활 복귀가 가능하다”며 “재건술을 했다면 초기 재활은 운동 범위 회복에 맞춰 진행하고, 점차 근력을 강화하는 운동을 병행해 재건 인대를 보호하고 일상 활동이 가능하도록 인대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진행한다”고 말했다.
이관주 기자 leekj5@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