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띠 졸라매는 尹 정부… 대통령직속 위원회부터 손질

정부 산하 위원회 629개… 상당수가 '유령 운영'으로 예산 낭비, 尹 "공공부문 긴축 불가피"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윤석열 정부가 '위원회 대수술'에 본격 나선다. 정부 내 존재하는 각종 위원회가 책임행정을 저해하고 행정의 비효율을 높이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공공기관 '허리띠 졸라매기'의 일환으로 먼저 대통령 소속 위원회부터 과감히 정비해 예산을 절감하고 행정 효율성을 높이겠다는 방침이다.

지난 5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진행된 국무회의에서 윤 대통령이 이같은 지침을 전달한데 이어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은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공공부문이 솔선수범해야 한다는 것을 굉장히 강조하면서 불요불급한 자산 매각, 지출 구조조정, 경영 효율화를 주문했다"며 "정부 위원회 정비도 이런 측면에서 추진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 산하 위원회는 이명박정부 530개, 박근혜정부 558개, 문재인정부 631개로 늘었다가 현재 629개가 됐다. 대통령 소속은 20개, 국무총리 소속 60개, 각 부처 소속은 549개다. 대통령실은 문재인정부가 일자리 정부를 표방하며 만들었던 일자리위원회와 정책기획위원회 2개를 폐지했다.

20개의 대통령 소속 위원회는 연평균 33억원가량 예산을 쓰는 것으로 알려졌다. 2019∼2021년 3년간 대통령이 직접 주재한 회의는 찾기 힘들고 상당수 위원회가 형식적으로 운영되거나 고비용·저효율이 심각한 상태인 점을 감안해 대수술 결정을 내린 셈이다.

이중 대통령 소속 위원회는 20개 중 13개(65%)를 정리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예산 기준으로 연간 최소 250억원을 절감할 수 있는 수준이다. 이에 대통령 소속으로 남게 되는 위원회는 경제사회노동위원회, 규제개혁위원회, 2050 탄소중립 녹색성장위원회,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 군사망사고진상규명위원회,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등 6개다. 기능이 중복되는 국가균형발전위원회와 자치분권위원회를 통합해 지방시대위원회(가칭)를 새로 출범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다만 각종 위원회를 감축하기 위해서는 야당의 협조가 필수적이라 이른 시일 내에 결과를 내기는 쉽지 않다.

전날인 8일, 첫 비상경제민생회의를 앞두고 윤 대통령이 "전 세계적으로 경제위기 아닌가. 제일 중요한 것은 공공부문의 긴축은 불가피하다는 것"이라고 재차 강조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공공부문 긴축을 통해 확보한 돈을, 경제위기에 더 어려운 분들에게 더 두텁게 지원하겠다는 복안이다.

윤 대통령은 "아무리 어렵더라도 우리가 집안이 아무리 어려워도 아이들 공부시키고 해야 되듯이 국가의 성장동력에 대해서는 과감히 투자하지 않을 수 없다"며 "그래서 어제 재정전략회의에서는 미래의 성장동력인 교육, 연구개발(R&D), 지출 구조조정 등을 논의했다"고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윤 대통령은 다음주부터 각 부처 장관들로부터 정부 출범 후 첫 업무보고를 받는다. 장·차관, 실국장급 등이 대거 참석해 보고하는 게 아닌, 장관이 대통령과 독대해 보고하는 방식이다. 업무보고는 국정과제, 민생대책 등 부처 핵심과제 보고가 이뤄진다. 공공기관 혁신, 위원회 정비, 규제 혁신 등에 대해서도 논의할 예정이다.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부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