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니웰PMT, 국회포럼서 '불소계 온실가스 정책개발 필요'

"불소계 온실가스 잠재배출량, 전체 韓배출량 9~10%"

정부가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상향안을 확정한 지난해 10월27일 인천 서구 신인천복합화력발전소 굴뚝 모습. NDC 상향안의 골자는 2030년까지 국가 온실가스를 2018년보다 40% 줄이는 것이다.(이미지 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문채석 기자] 온실가스 관리 사각지대인 불소계 온실가스에 대한 정책개발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국회포럼에서 제기됐다.

주한미국상공회의소(암참)는 가입 기업인 미국 석유화학업체 하니웰의 불소화합물사업부(하니웰PMT)가 지난 12일 참석한 국회 포럼에서 이 같은 주장이 나왔다고 밝혔다. 포럼명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불소계 온실가스 관리방안'으로 더불어민주당의 양이원영, 이수진 의원과 기후변화센터가 공동 개최했다.

한국 냉매 소비량의 온실가스 잠재 배출량은 2018년 기준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의 9~10%에 달한다. 앞서 1987년 각국은 오존층 파괴 물질 규제에 관한 국제 기후협약인 '몬트리올 의정서'를 맺은 바 있다. 냉장고, 에어컨 등의 냉매로 쓰이던 프레온가스(CFC) 사용을 선진국에서는 1996년부터, 개발도상국에서도 2010년부터 각각 완전 금지하는 게 골자다. 이에 따라 오존층 파괴 물질의 대체 물질을 써야 하지만, 아직도 관리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문제의식이 제기된 것이다. 실제로 유럽,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선 온실가스 감축과 연계한 냉매관리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다.

유기출 하니웰PMT 대표는 '글로벌 불소계 가스(냉매·발포제) 시장트렌드' 발표 연사로 나서 "수소염화불화탄소(HCFC)와 불화탄소(HFC)를 온실가스의 주범으로 인식하고 이에 대한 국가적인 통계 수립도 할 필요가 있다"며 "이산화탄소(CO2) 사용 물량이 많은 분야별 '대체 로드맵'을 마련해야 하며, 적절한 지원 제도 및 규제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포럼 발제 자료는 기후변화센터 누리집에서 확인하면 된다. 토론 영상은 유튜브 채널 '칸(kharn)'에서 보면 된다. 칸은 녹색건축 전문채널로, 이번 포럼을 공동 주관했다.

문채석 기자 chaeso@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문채석 기자 chaes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