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위 '니트족 등 은둔청년 사회 활동 지원할 것'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이기민 기자]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정책적 소외계층인 은둔 청년의 사회 활동을 돕기 위한 지원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다. 구직 및 일할 의사가 없는 청년(NEET)족 등 은둔청년 관련 사회적 문제가 심화되는 것을 막으려면 이들의 사회 복귀를 위한 정책이 반드시 마련돼야 한다는 취지다.

장예찬 인수위 청년소통TF 단장은 6일 서울 통의동 인수위 사무실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사회적으로 고립된 은둔청년은 청년세대중에서도 가장 취약계층이다. 점점 심각해지는 사회문제지만 관심 밖에서 은둔 청년·니트(NEET, 일하지 않고, 일할 의지가 없는 청년 무직자)족 문제가 방치돼왔다"며 이같이 말했다.

장 단장은 "국내 은둔청년 규모는 34만명에서 최대 50만명으로 추정되고, 사회적 비용은 연간 5000억원 이상으로 추산된다. 노동시장의 변화와 코로나19 영향으로 (청년의) 사회고립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그러나 중앙부처 차원의 지원을 위한 조사와 대책이 전혀 없다. 청와대 청년비서관실을 신설했던 정부에서 가장 약자인 사회적 고립청년 위한 대책 단 하나도 만들지 않았다는 게 개인적으로 놀랍다"고 지적했다.

청년지원TF는 청년들의 탈은둔을 돕기 위해 대선 공약이었던 '청년도약준비금'를 국정과제에 반영하기로 했다. 청년도약준비금은 만 19~34세 청년에게 도약준비금을 바우처 형식 등으로 지급하고, 지급받은 청년들의 사회활동 참여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제도다. 장 단장은 "구직활동, 사회 복귀 위해 상담, 일부 현금지원 등 1만명이 참여한다고 봤을 때 1차 추산 결과 400억원 정도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또한 청년 정책 검색부터 지원신청까지 온라인 원스탑 서비스를 제공하는 '청년정책종합지원 플랫폼'을 구축할 예정이다. 오프라인에는 청년도약베이스캠프를 마련해 진로 탐색, 구직 지원 등 사회 교류를 지원할 방침이다.

한편 청년소통TF는 지난 3일 서울 강북구에 있는 탈은둔 청년 공동생활 공간 '안 무서운 회사'를 찾아 은둔 청년들의 생활 실태를 청취하기도 했다.

이기민 기자 victor.lee@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부 이기민 기자 victor.le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