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 '스텔스 오미크론 검출률 41.4%…유행정점, 지연 가능성'

국내 스텔스 오미크론 검출률
일주일 새 26.3%→41.4%
정점 지연·규모 확대 우려

[아시아경제 기하영 기자]오미크론 변이 중 하나인 BA.2, 일명 '스텔스 오미크론'의 국내 점유율이 빠르게 늘면서 유행 정점이 예상보다 늦어질 수 있다는 방역당국의 전망이 나왔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21일 중앙방역대책본부 정례 브리핑에서 "오미크론 변이 중 BA.2의 점유율이 증가하고,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로 확진을 인정하게 되면서 유행 정점까지 기간이 지연되고 규모가 커질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정 청장은 "국내·국외 감염사례의 대부분이 오미크론 변이로 확인됐고, 세부 계통에 대한 유전자 분석 결과에서 전파력이 보다 높은 BA.2의 검출률이 국내 사례에서는 41.4%, 해외 유입사례에서는 56.9%로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방대본에 따르면 3월 3주차 국내 주요 변이바이러스 검출률은 오미크론이 99.99%다. 오미크론 변이 중에서도 BA.2의 검출률은 최근 4주 새 10.3%→22.9%→26.3%→41.4%로 증가하는 추세다. 해외유입 사례 중 BA.2 검출률도 같은 기간 18.4%→47.3%→45.7%→56.9%로 벌써 절반을 넘겼다.

세계보건기구(WHO)와 해외 보건기관의 초기 분석에 의하면, BA.2가 BA.1 보다 30% 높은 전파력을 보이는 것으 나타났다. 다만 BA.1과 BA.2간 임상적 중증도와 입원율은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정 청장은 "BA.2의 점유율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전파력이 좀 더 높아질 수 있고, 전파를 시키는 세대기가 0.5일 정도로 짧기 때문에 좀 더 빠른 전파에 대한 위험이 있는 상황"이라며 "규모나 정점에 일정 부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는 오미크론 유행이 지난 다음에 BA.2로 인한 재유행이 아니라 오미크론 유행이 진행되는 상황에서 점유율이 변경되는 부분"이라며 "이 부분이 같이 유행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면밀하게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3월 3주차 코로나19 위험도는 3주 연속 전국, 수도권·비수도권 모두 '매우 높음'으로 평가됐다. 방역당국은 오미크론 변이 중 BA.2 형 점유율 급증 뿐 아니라 거리두기 완화, 전면 등교, 백신접종 후 시간 경과에 의한 면역 감소 등이 유행에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했다. 특히 요양병원·요양원 집단감염 증가, 60세 이상 및 기저질환자 미접종자에서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접종률은 답보 상태이고, 항바이러스제 처방과 투약에도 제약이 많은 점을 우려하고 있다.

기하영 기자 hykii@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바이오헬스부 기하영 기자 hykii@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