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선미기자
[아시아경제 박선미 기자]서울 소재 9억원짜리 아파트를 주택담보대출 2억원을 받아 구입하려는 김신영(40)씨는 금리 고정형(혼합형)과 변동형 사이에서 고민 중이다. 대출기간을 30년, 원리금분할상환으로 조건을 설정하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에서 대출받을 때 적용되는 금리는 고정형이 평균 3.1~3.3%, 변동형이 2.5~2.8% 수준으로 변동형이 더 낮다. 고정형을 택하면 월평균 원리금 상환액이 85만~88만원 정도 되지만 변동형을 택하면 79만~82만원 수준으로 낮아진다. 하지만 한국은행이 연내 기준금리 인상을 시사하면서 금리 변동에 영향을 많이 받는 변동형과 금리 변동 리스크가 적은 고정형 사이에서 고민이 깊어진 것이다.
주담대의 금리형태는 크게 두가지다. 비교적 짧은 기간마다 금리가 변하는 변동형 금리 상품과 비교적 긴 기간 동안 일정한 금리가 적용되는 고정형 금리 상품이 있다. 변동형 금리 상품은 은행이 시장에 판매하는 예적금, 채권 등의 조달금리 변동에 따라 매번 변한다. 따라서 변동금리 대출 상품은 금리하락기에 더 선호된다.
2일 금융감독원 금융소비자정보포털 파인에 따르면 현재 은행권 주담대 금리는 변동형이 고정형보다 0.5%포인트 정도 낮게 형성돼 있다. 변동형 금리 주담대 상품의 경우 국민은행의 ‘KB주택담보대출변동’이 2.44~3.64%, 신한은행의 ‘신한주택대출(아파트)’ 2.62~3.62%, 하나은행의 ‘하나변동금리모기지론’ 2.52~3.82%, 우리은행의 ‘우리아파트론’ 2.7~3.52%, 농협은행의 ‘NH주택담보대출’ 2.61~3.81% 등이 있다. 고정형 금리 주담대는 상품이 없는 농협은행을 제외하고 KB주택담보대출혼합 2.87~4.37% 신한주택대출 3.44~4.44%, 하나혼합금리모기지론 3.04~4.34%, 우리아파트론 3.26~4.36% 등이 있다.
현 시점의 금리만 놓고 보면 변동형 금리 상품이 더 낮은 금리 때문에 매월 상환해야 하는 원리금 부담이 적다. 기대 인플레이션(물가압력) 등이 반영돼 금융채가 상승 분위기를 타면서 이를 기준으로 금리를 결정하는 고정형 상품의 금리가 빠른 속도로 오른 탓이다. 1년 전만 해도 5대 은행 주담대 고정형 금리는 2.31~4.11% 수준으로 변동형 2.33~4.16% 수준 보다 오히려 낮았다. 1년 새 금리가 계속 상승하면서 변동형 주담대와 금리 차이가 커진 셈이다.
문제는 연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언급되고 있고 앞으로 은행권 대출금리 상승 속도가 더 빨라질 수 있어 변동형 금리 상품의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는데 있다. 기준금리 상승기에는 금리 변동형 보다는 고정형 상품이 더 유리하다. 주담대 상품을 결정할때 금리 변동형과 고정형 사이에서 금융소비자 고민이 커지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전문가들은 이미 15개월만에 최고 수준으로 오른 은행 가계대출(주택담보대출·신용대출 등) 금리가 앞으로 채권 금리가 들썩일 조짐에 따라 더 오를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채권시장에서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5월 말 기준 2.179% 수준으로 2018년 11월 22일(2.206%)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5년물 역시 1.739%로 최근 2년만에 최고치로 올라갔다. 20년물과 30년물도 각각 2.294%, 2.292%로 상승세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달 27일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연내 금리인상 가능성에 대해 "경제여건에 달려있다"고 한 발언이 한은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 상향조정과 맞물린 영향이 크다. 전체 대출자의 절반 이상이 금리 상승에 따른 상환 부담 증가 위험에 노출될 수 있어 금리인상 결정은 쉽지 않다. 하지만 대출 금리가 1%포인트 오를 때 가계대출 이자가 총 11조8000억원 증가하는 부담에도 불구하고 경기가 개선됨에 따라 금리인상 가능성에 준비해야 한다는 게 금융업계의 공통된 견해다.
박성욱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정부의 강도 높은 대책에도 불구하고 주택가격 상승이 지속되고 올해 1분기 가계신용이 소득 및 경제성장보다 높은 전년 동기 대비 9.5%의 증가세를 보인 배경에는 낮은 차입비용을 기반으로 부채를 확대해 더 높은 수익을 노리도록 여건을 제공해준 초저금리가 자리잡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현재의 경기 개선세가 계속된다면 그에 상응하는 기준금리의 점진적인 인상을 하반기 중 시작함으로써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를 경기 개선 정도에 맞게 질서있게 조절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박선미 기자 psm82@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