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 -1.1%→-1%대로 사실상 하향조정(상보)

기재차관 "소상공인 등 취약계층에 대한 유동성 지원 강화"

김용범 기획재정부 제1차관(왼쪽 두번째)이 22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열린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아시아경제 이광호 기자]정부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1%에서 -1%대로 사실상 하향 조정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3차 확산 상황을 반영한 조치로 해석된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22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올해 -1%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정부가 지난 17일에 2021년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면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로 -1.1%를 제시한 점을 감안하면 사실상 하향조정을 의미한다.

정부가 제시한 -1.1%는 코로나19 3차 확산 상황이 일정 수준에서 통제된다는 가정에 기반한 수치였다. 즉 최근 코로나19 확산 상황을 반영해 사실상 추가 조정한 것으로 보인다.

김 차관은 "글로벌 경제는 코로나19 재확산으로 경제적 피해가 지속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김 차관은 "미국의 12월 둘째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9월 이후 최대치를 경신했고, 영국은 영국에서는 코로나19 변종 바이러스 확산으로 런던 등의 방역조치가 최고 수준으로 격상되고 주요국과 영국간 이동이 봉쇄되는 등 경제적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와 같은 코로나19 전개 상황을 비롯해 미국 상무부의 중국 기업 블랙리스트 추가 등 미국과 중국 갈등, 영국과 유럽연합(EU)간 브렉시트 협상 지연 등 리스크 요인에 따라 연말연초를 맞아 시장 유동성이 얕은 상황에서 변동성이 커질 수 있는 만큼, 정부는 경각심을 갖고 관련 동향을 예의주시 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차관은 "전세계적으로 늘어난 유동성이 자산시장 이상 과열, 양극화 확대 등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며 "코로나19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 등 취약계층에 대한 유동성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피력했다.

이어 "시중 유동성이 우리 경제의 포용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데 쓰이도록 보다 세심히 관리하겠다"며 "시중자금이 생산적 부문에 유입되고 장기간 머무르도록 한국판 뉴딜 및 BIG3(시스템반도체, 미래차, 바이오헬스) 분야 등 미래 성장동력에 대한 민간투자 인센티브를 제고해 나가고 주식 장기보유에 대한 세제지원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이광호 기자 kwang@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경제부 이광호 기자 kwan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