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노동자 8명 쓰러졌는데…환노위 국감 증인 놓고 기싸움

與, CJ대한통운 사장 증인 신청
野, 이스타항공·인국공도 부르자
정부·국회 ‘택배노동자 보호’ 목소리 무색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임춘한 기자] "뉴스에서 택배기사 7명이 (과로사로) 죽었다고 했을 때 내 새끼 같아서 가슴을 치고 울었는데...우리 아들을 마지막으로..." (택배노동자 김모(48)씨의 아버지)

CJ대한통운 택배노동자였던 김씨의 아버지는 12일 서울 노원구 을지대학병원 장례식장 앞에서 더 이상 말을 잇지 못했다. 아들의 낡은 택배유니폼만 들고 한없이 눈물만 흘릴 뿐이었다. 김씨는 사망 당일 아버지에게 "어제보다 늦을 것"이라는 말만 남기고 집으로 돌아오지 못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환노위)에서 고용노동부 국정감사가 진행됐던 그날의 죽음은 택배노동자를 보호하겠다는 정부와 국회의 목소리를 무색하게 만들었다.

환노위 국정감사에서는 관련 증인 채택조차 난항을 겪고 있다. 여야가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사안들과 맞물려 기싸움만 벌이고 있기 때문이다. 올해 들어 과로사로 추정되는 택배노동자 과로사로는 8명째이며, 그 중 5명이 업계 1위인 CJ대한통운 소속이다. 더불어민주당은 CJ대한통운 사장 등을 증인으로 부르려 하지만 국민의힘은 여당이 원하는 증인만 채택할 수는 없고, 인천국제공항공사와 이스타항공 등도 증인으로 나와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양이원영 민주당 의원은 전날 기상청 국감 시작 전 "지난 국감 때 확인한 것처럼 물품 분류하는 것만 오후 2~3시까지 한다. 공짜노동과 과잉노동이 너무나 심각하고, 하루에 열 몇 시간씩 노동을 하는 이 시스템을 CJ대한통운이 바꾸지 않는 이상 죽음의 행렬은 계속 될 수밖에 없다"며 "이번 종합감사에는 CJ대한통운 사장이 와서 더 이상 택배노동자들을 죽음에 몰지 않는, 어떻게 시스템을 바꿀 것인지 책임 있는 답변을 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환노위원장인 송옥주 민주당 의원은 "CJ대한통운 관련해서는 현장시찰 일정이 있기는 하다"며 "일정 수립을 할 때 꼼꼼히 반영하면 좋겠고, 여야 간사들이 종합감사 때 증인 채택을 어떻게 할 것인지 검토를 좀 해달라"고 말했다.

김씨는 지난 8일 오후 7시30분께 서울 강북구에서 택배 배송 업무를 하던 도중 갑작스런 호흡 곤란 증상으로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끝내 사망했다. 그는 매일같이 오전 6시30분께 출근해 오후 9~10시께 퇴근을 했다. 하루 평균 14~15시간을 넘게 일했고, 약 400여개의 택배를 배송했다. 정부와 배송업계가 추석 성수기만이라도 분류 인력을 충원하겠다고 했지만 업장마다 사정은 천차만별이었다. 택배노동자 과로사 대책위원회의 설명에 따르면 김씨가 근무했던 택배 대리점에는 인력 충원은 없었고, 택배기사들이 직접 분류작업까지 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그는 업무도중 사망했지만 산업재해 인정도 받을 수 없다. 산업재해보험 적용 제외 신청을 했기 때문이다. 대책위는 "(김씨가 있던 대리점은) 지난 여름 택배기사 13명을 모아 놓고 산재 적용제외신청서를 쓰게 했다"고 주장했다.

임춘한 기자 choon@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부 임춘한 기자 choo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