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화 국가산단, 재생사업 통해 스마트그린산단으로 탈바꿈한다

경기 시흥시 시화 국가산단 재생사업 위치도 (제공=국토교통부)

[아시아경제 이춘희 기자] 시화 국가산업단지가 재생새업을 통해 스마트 그린산단으로 재탄생한다. 경북 경주시에는 원자력 연구개발업 육성을 위한 혁신원자력연구단지가 새로 들어선다.

국토교통부는 시화 국가산단 재생사업지구 지정안과 각 광역지방자치단체에서 마련한 2020년 산업단지 지정계획 변경안을 29일 산업입지정책심의회에서 원안 통과했다고 밝혔다. 현재 산업단지 지정계획은 '산업입지의 개발에 관한 통합지침'에 따라 각 시·도지사가 연평균 수요 면적의 최대 10배 안에서 수립하고 국토부와의 협의 및 확정을 거쳐 산업단지 승인절차가 이행된다.

시화 국가산단 재생사업지구 지정안은 경기 시흥시가 현재 정왕동에 위치한 시화 국가산단 일원 약 668만㎡를 재생사업지구로 지정해 시화 국가산단을 재정비하고자 제안했다. 산단 전체면적 1612만㎡의 40%가량이다.

1987년 조성된 시화 국가산단은 전국 최대 중소 제조업 집적지이자 기계·전기전자부품의 최대 공급기지 등으로 자리잡은 곳이다. 하지만 도시 확산에 따른 환경문제, 기반시설의 노후화와 부족현상, 경직된 토지이용계획 등으로 인해 변화하는 산업환경 대응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시흥시는 이번 재생사업에 총사업비 433억원(국비 216억원, 지방비 217억원)을 들여 2025년까지 도로환경개선, 주차장·공원 등 부족한 기반시설을 확보하고 토지이용계획 변경, 업종 재배치 등 산업구조 개편을 통해 혁신거점으로 새롭게 조성해나간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스마트 그린산단으로의 전환을 위해 산단 내 주요 간선도로에 교통상황에 따라 신호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교차로 시스템을 도입하고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도 구축해 안전한 산업단지를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뿐만 아니라 산단 상상허브(활성화 구역) 사업을 통해 산업·문화·지원 기능이 집적화된 고밀도 복합개발사업도 추진해 산단 내 혁신 성장 거점지로 조성한다는 복안이다.

시화국가산업단지

경주에는 원자력 연구개발업 육성 위한 '혁신원자력연구단지' 조성

이날 심의회에서는 2020년 산업단지 지정계획 변경을 통해 6곳의 산업단지가 추가됐다. 지역별로는 경북 3곳, 충남·전남·경기 각각 1곳이다.

경북은 이번에 '혁신원자력연구단지'와 '외동 3·4일반산단'이 추가됐다. 지정면적 277만㎡, 산업용지면적 121만㎡ 규모다. 이로써 올해 경북에는 총 10개 산단(지정면적 605만㎡, 산업용지면적 324만㎡)이 지정되게 됐다.

이번 산단 모두 경주시에 추가된다. 혁신원자력연구단지는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원자력 분야 핵심기술 역량 확보를 위해 경북 지역에 조성할 계획인 전용 연구단지다. 이를 통해 원자력 관련 연구개발업을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외동3·4 일반산단은 경주지역에 산업단지 개발 실수요 기업 19개사가 직접 조성하는 산단으로 금속가공제품제조업, 기타기계 및 장비제조업이 유치될 예정이다.

전남에는 영광군에 전기자동차 관련 연구개발업을 유치하는 대마전기자동차 일반산단이 생길 계획이다. 충남과 경기에는 각각 천안 제6일반산단, 용인원삼일반산업단지가 반영됐다.

국토부는 이날 통과된 2020년 2분기 산업단지 지정계획 변경안을 30일 각 시·도에 통보할 예정이다. 이후 각 시·도는 산업단지 지정계획을 공고한 후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에 따라 산업단지별로 자체 승인절차를 이행하게 된다.

김근오 국토부 산업입지정책과장은 "시화국가산단이 재생사업을 통해 서해안제조업벨트의 중심축으로 기능하도록 토지이용계획개편 및 기반시설비 등을 차질 없이 지원해가겠다"며 "또한 지역별 산단 수급현황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산업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역 특성에 맞는 산업용지를 공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춘희 기자 spring@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이춘희 기자 sprin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