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국가 하천 홍수관리 '스마트해진다'

[아시아경제(수원)=이영규 기자] 경기도가 2022년까지 도내 17개 국가 하천에 하천 수문 및 통문을 호우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스마트 홍수관리시스템'을 구축한다.

스마트 홍수관리시스템은 국토교통부가 다양한 정보통신기술(ICT)를 적용해 수문 개폐를 자동화하는 등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국지성 집중호우에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추진하는 사업이다.

특히 현재 범정부적으로 추진 중인 한국판 뉴딜정책의 일환(SOC 디지털화 영역 중 하천분야)이기도 하다.

그간 하천 수문은 지방자치단체 담당자나 지역주민이 경험적으로 수동 조작해 시간적ㆍ기상적 제약 등의 이유로 적기 개폐하지 못할 경우 농경지ㆍ가옥 등의 침수피해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사업 대상은 한강, 오산천, 안성천, 임진강 등 17개 국가하천 수문ㆍ통문 627곳이다. 도는 이를 위해 전국 광역지자체 중 최대 규모인 국비 161억원을 확보했다.

스마트 홍수관리시스템을 갖추게 되면 지자체별 종합상황실에서 CCTV로 수문상태를, 자동 수위계로 하천 수위 등을 각각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필요 시 수문 등 배수시설을 상황에 따라 자동ㆍ원격ㆍ현장제어 등으로 조작해 수위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는 국비가 순차적으로 투입되도록 국토부 등과 지속 협의하고, 각 지자체별로 신속히 사업에 착수해 모든 수문ㆍ통문에 대해 연내 실시설계와 일부 시스템 고도화 사업을 완료 할 수 있도록 집행에 최선을 다하기로 했다.

고강수 도 하천과장은 "노후 시설물에 대한 스마트 관리체계 도입으로 보다 효율적인 재해대응을 할 수 있게 됐다"며 "이번 사업을 장기적으로 도내 모든 수문 자동화시스템 도입의 초석으로 삼아, 안전하고 스마트한 하천관리 시스템을 만드는데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