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라지는 '신종 코로나' 의심자·접촉자 위치 추적

중수본·경찰청 거치지 않고
지자체·지방청·경찰서 직접 소재파악 소통
일부선 "지자체가 정보공개" 목소리도

경찰, 검역소 파견 등 신종 코로나 대응 지원

11일 서울 중구 국립중앙의료원에서 내원객들이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예방을 위한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다./김현민 기자 kimhyun81@

[아시아경제 이관주 기자] 앞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우한폐렴) 감염 의심자와 접촉자의 소재파악이 한층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미확인 접촉자 추적에 지역경찰을 즉시 동원할 수 있도록 관련 절차를 개선한 데 따른 것이다.

11일 경찰청에 따르면 경찰은 최근 감염 의심자와 접촉자 소재추적 방식을 일선 지방자치단체와 지방경찰청ㆍ경찰서 간 직접 통보 방식으로 바꿨다. 기존에는 지자체가 1차적으로 소재를 파악한 뒤 확인되지 않은 인원을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에 전달하고, 중수본은 이를 취합해 경찰청에 보냈다. 이후 경찰청은 다시 지방경찰청에 하달하고, 지방청은 또 경찰서에 보내 추적하도록 하는 방식이었다. 또한 소재 파악이 이뤄지면 역으로 경찰서에서 지방청, 경찰청으로 올라와 중수본에 전달되고 중수본은 이를 다시 지자체에 전달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처럼 여러 단계를 거치면서 의심자ㆍ접촉자 소재파악이 늦어질 수밖에 없었다.

이에 경찰은 중수본과 경찰청을 거치지 않고 지자체와 지방청ㆍ경찰서가 직접 연락해 소재추적에 나서도록 단계를 축소한 것이다. 지자체가 의심자나 접촉자의 소재를 파악하다가 실패하면 곧바로 미확인자 명단을 지방청과 경찰서로 통보하는 방식이다. 역으로 지방청과 경찰서는 소재파악 후 지자체에 결과를 바로 전달한다. 경찰 관계자는 “초기에는 감염 의심자·접촉자 수가 적어 기존 방식으로 대응이 가능했지만, 지속적으로 늘어나면서 신속한 소재파악을 위해 방식을 개선했다”고 설명했다.

의심자ㆍ접촉자 파악 작업에 경찰이 곧바로 움직일 수 있게 되면서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달 20일 첫 신종 코로나 확진자가 발생한 뒤 경찰은 367명(내ㆍ외국인 모두 포함)의 소재파악 요청을 받아 340명의 소재를 파악했고, 27명은 현재 추적 중이다. 경찰은 외국인 추적에는 지방청 국제범죄수사대, 내국인 추적에는 경찰서 형사ㆍ수사ㆍ지역경찰(파출소) 등을 동원하고 있다. 실제 사흘 동안 서울 강남 일대를 다녔던 3번째 확진자의 경우 강남ㆍ수서경찰서 형사와 지역경찰들이 투입돼 폐쇄회로(CC)TV를 확인해 동선을 파악해냈고, 4번째 확진자 동선 확인에는 경찰관 38명이 투입되기도 했다.

다만 지자체와 경찰이 직접 접촉자 소재파악이 가능해짐에 따라 관련 정보들이 지자체를 통해 공개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현재 확진자 동선, 접촉자 정보 등은 중앙방역대책본부가 취합해 발표하고 있다. 이를 두고 일부 지자체에서는 불만의 목소리도 나온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환자 정보가) 실시간으로 발표되고 공유되지 않으면 시민 불안을 키우고 감염병 확산을 막는데 큰 문제를 노출한다고 본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한편 경찰은 소재추적을 비롯해 공항ㆍ항만 등 전국 검역소에 경찰관 193명을 파견하고, 우한 교민 임시생활시설 2곳에 각각 3개 중대를 투입해 경비하는 등 신종 코로나 관련 지원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3차 전세기로 귀국할 우한 교민들의 임시생활시설 이송도 경찰이 지원할 것으로 보인다.

이관주 기자 leekj5@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이관주 기자 leekj5@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