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릭 e종목]'동일기연, 전기집진 필터로 헤파필터 대체'

[아시아경제 박형수 기자] 리서치알음은 29일 동일기연에 대해 전기집진 필터와 미용가전 부품이 실적 개선을 이끌 것으로 내다봤다. 적정주가 2만1500원을 제시했다.

최성환 리서치알음 연구원은 "동일기연은 TV, 미용기기, 자동차 전장부품 등에 들어가는 각종 필터와 센서를 제조해 판매한다"며 "기기 내 불필요한 전자파를 걸러주는 ‘노이즈필터(Noise Filter)’와 차량용, 가정용 에어컨 모터에 전류를 공급하는 ‘카본브러시(carbon brush)’ 등을 생산한다"고 소개했다.

이어 "주요 고객사는 삼성전자, LG전자 등 국내 가전 업체와 TI 오토모티브, 현담산업 등 자동차 부품업체"라며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생산공장으로 정전기 제거장치도 공급한다"고 덧붙였다.

최 연구원은 "공기청정기용 미세먼지 감지센서와 뷰티가전 부품 등을 개발하는 데 투자했다"며 "상용화 준비 중인 미세먼지 감지센서는 지름 10㎛의 일반 미세먼지부터 지름 2.5㎛ 미만의 초미세먼지까지 측정 가능한 LED 타입 제품"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공기청정기 내부에서 적외선을 방출하고 반사돼 돌아오는 정도를 파악해 실내 미세먼지 수준을 측정한다"며 "국내 미세먼지 감지센서 중 가장 소형으로 개발해 차량용, 가정용 공기청정기에 탑재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공기청정기 제조사와 성능 및 제품 테스트까지 끝마친 것으로 파악한다"며 "올 하반기 본격적인 매출 인식이 가능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최 연구원은 또 "연초 S사 해외공장 클린룸에 필요한 전기집진필터 필드 테스트를 마쳤다"며 "상반기 내 S사향 유의미한 매출이 발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동일기연이 개발한 전기집진필터(EPF)는 정전기를 활용해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식이다. 주기적인 필터교체가 필요한 헤파필터(Hepa Filter)와 달리 소모품 교체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보통 헤파필터 제품이 3~4개월 주기로 교체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경쟁우위를 확보했다고 최 연구원은 판단했다. 높은 통기성과 멸균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점도 전기집진필터의 대표적인 장점이라고 소개했다.

최 연구원은 "S사향 전기집진필터 초도 공급 이후 성능평가에 따라 2차, 3차 공급을 비롯해 반도체 공장까지 확대 적용할 가능성이 크다"며 "대기업 수주 레퍼런스를 바탕으로 향후 대형빌딩 공조 시스템과 환기정화시스템까지 활용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앞으로 건설사가 아파트 내 미세먼지 유입을 막는 공기청정시스템 도입을 확대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동일기연이 사업에 참여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헤파필터를 적용하는 분야를 대체했을 때 파급 효과가 클 것이라고 최 연구원은 설명했다.

박형수 기자 Parkhs@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자본시장부 박형수 기자 Parkhs@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