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내년 폴더블·5G폰으로 기술 혁신 주도할 것'

IM부문 영업익 2조2200억원 '실망'전년동기·전기대비 '뚝'중국폰 저가 공세 영향…스마트폰 시장도 침체"라인업 다변화하고 중저가폰 역량 강화"
[아시아경제 임온유 기자] 삼성전자 스마트폰 사업이 3분기 주춤한 가운데 내년 5G폰과 폴더블폰으로 기술 혁신을 주도해 중장기적 경쟁력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31일 삼성전자는 3분기 매출이 65조4600억원, 영업이익이 17조5700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영업이익 기준 분기 사상 최대 실적이다. 그러나 스마트폰 사업을 이끄는 IM(IT&Mobile)부문은 저조했다. 매출 24조9100억원, 영업이익 2조2200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의 경우 지난해 3분기(3조2900억원)보다 1조700억원 감소했다. 신형 프리미엄폰이 출시되지 않았던 지난 2분기(2조7000억원)보다도 4800억원 적다.삼성전자는 "갤노트9 판매가 확대됐지만 프로모션 비용이 증가하고 중저가폰 제품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이익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IM부문의 부진은 전 세계 스마트폰 시장 침체와 함께 중국폰의 전방위적 저가 공세로 인한 결과로 풀이된다. 중저가폰에서 활약하던 화웨이, 샤오미 등이 프리미엄폰 시장에 본격 진입하면서 삼성전자는 유럽과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전방위적 공격을 받고 있다. 내달 국내 출시될 샤오미 포코폰F1의 경우 40만원대임에도 100만원대 갤노트9과 유사한 성능을 발휘한다는 평가다.삼성전자는 4분기 갤럭시 최초 트리플 카메라폰 '갤럭시A7'과 쿼드 카메라폰 '갤럭시A9' 등 고사양 중저가폰을 잇달아 출시해 점유율 확대를 노린다. 인도, 베트남 등 신흥 시장에서 중국폰을 견제하기 위해서다. 다만 이러한 전략은 점유율을 상승시키나 수익구조를 개선시키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는 "3분기 대비 판매량은 증가할 것으로 보이나 마케팅 비용 증가로 이익은 감소할 것"이라 내다봤다.삼성전자는 올해 실적 부진을 돌파하기 위해 내년 플래그십 스마트폰에 신규 디자인을 적용하고 라인업을 다변화하겠다고 밝혔다. 또 중저가폰의 카메라 기능을 강화해 적극적으로 경쟁에 대응하겠다는 전략이다. 더불어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폴더블폰·5G폰을 출시해 '기술 삼성'의 면모를 다시 세울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폴더블폰·5G폰 출시를 통해 기술 혁신을 주도하고 빅스비 중심의 인공지능·사물인터넷 서비스를 강화해 중장기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임온유 기자 ioy@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IT부 임온유 기자 io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