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모바일 뉴스에 'AI 헤드라인' 적용…14개 기사묶음 제공

유사한 이슈를 14개로 묶어서 제공이용자별로 기사묶음 대표기사·뉴스 배열 순서 다르게 노출네이버 뉴스 클러스터링, 2.5만개 기사 10분 단위로 자동 분류
[아시아경제 한진주 기자] 네이버가 뉴스 개편을 앞두고 인공지능(AI) 알고리즘으로 이슈별로 기사를 묶어 보여주는 'AI 헤드라인' 베타 서비스를 시작했다.1일 네이버는 지난달 31일부터 모바일 뉴스 홈에 AI 헤드라인 베타 서비스를 적용했다고 밝혔다. AI 헤드라인은 클러스터 기술을 적용해 유사한 이슈를 자동으로 묶어서 노출하고 개인별 뉴스 소비 패턴에 따라 자동으로 추천해주는 서비스다.'AI 헤드라인'은 네이버 모바일 뉴스 웹·앱에 모두 적용되며 상단에 14개 기사 묶음이 노출된다. 하나의 그룹으로 묶인 기사들은 최신성·기사 길이 등의 요소에 따라 배열 순서가 정해진다. '대표 기사'의 제목으로 노출되지만 기사 묶음 오른쪽에 네모 아이콘(클러스터링 아이콘)을 누르면 동일한 이슈로 묶인 다른 기사들을 확인할 수 있다.또 동일한 이슈로 묶여있더라도 대표 기사는 이용자마다 다르게 노출된다. 또한 기사 묶음 내 배열 순서도 이용자별 뉴스 소비 성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대신 로그인을 하지 않으면 기존에 읽었던 기사 등을 반영해 뉴스를 추천해주는 기능은 이용할 수 없다.
AI 헤드라인 서비스는 자동 클러스터링 기술과 에어스(AiRS) 추천기술을 토대로 제공된다. 자동 클러스터링 기술은 기사 본문의 유사도를 측정·분류해 유사한 기사를 묶어내는 기술을 말한다. 네이버는 2만5000개 기사를 10분 단위로 자동 분류하고 이슈별로 그룹을 묶어 하루에 1000개 가량의 기사 묶음(뉴스 클러스터링)을 생성한다. 에어스는 비슷한 관심 분야를 가진 이용자들이 많이 본 콘텐츠를 추천하는 기술과 인공신경망을 통해 정보량과 만족도가 높은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을 접목한 네이버의 AI 콘텐츠 추천 시스템이다. 현재 네이버 모바일 메인 하단에 '에어스 추천 뉴스'를 제공중이며 뉴스 섹션별 헤드라인 뉴스와 하단 주요뉴스에도 에어스가 적용돼있다.네이버는 AI 헤드라인 체험판 하단에 '의견 보내기'라는 창구를 만들어 이용자들의 의견을 반영하고 있다. 네이버 측은 "이용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해 더 만족도 높은 AI 헤드라인 뉴스를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한진주 기자 truepearl@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IT부 한진주 기자 truepearl@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