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업계 '리스크' 채무보증 3조 늘었다…부동산 꺾이면?

[아시아경제 박철응 기자] 증권사들이 부동산 등 사업을 통해 실행한 채무보증이 1년만에 3조원가량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경기가 꺾이면 재무 건전성을 위협할 요인으로 우려된다. 금융당국도 규제에 나설 방침이다.2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기준 증권사들의 채무보증 총액은 26조3446억원으로 전년 같은 시기 23조2705억원에 비해 3조741억원 증가했다.채무보증의 70% 이상은 부동산 관련 사업 때문으로 파악된다. 증권사들이 투자 자금을 모으는 역할을 하면서 투자금에 대한 보증을 해주는 식이다. 저금리 환경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을 거둘 수 있는 부동산 사업에 매진해 온 결과로 보인다.각 회사별로 보면 메리츠종금증권의 채무보증액이 5조944억원으로 가장 많다.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자본 대비 157%에 이르는 수준이다. 하이투자증권은 9481억원으로 자본 대비 136%, 교보증권은 1조482억원으로 132%에 이른다. 중형 증권사들이 상대적으로 부동산 투자에 더 많이 주력해온 결과로 풀이된다.일부 대형사들의 채무보증 규모도 커지는 추세다. 업계 1위인 미래에셋대우는 2016년 9월에 1조2888억원이었으나 지난해 9월에는 2조7462억원으로 1조5000억원가량 급증했다. 삼성증권도 같은 기간 1500억원에서 1조2834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NH투자증권은 3조2197억원, 한국투자증권 2조9414억원, KB증권 2조4224억원 규모다.이는 금융 안정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한국은행은 최근 국회에 제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서 "일부 비은행금융기관이 저금리 환경에 대응해 자금 운용 과정에서 고수익을 위해 위험추구 성향을 확대해 온 것으로 보인다"면서 "증권사는 위험부담을 감수하고 고수익원인 우발채무 보증을 확대했다"고 지적했다. 한국신용평가도 "우발부채 중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비중이 높아 부동산 경기 침체 시 증권사 신용도에 부정적 영향이 예상된다"고 분석했다.올해 부동산 전망은 밝지 않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건설 투자는 올해 들어 본격적인 조정 국면으로 진입할 전망"이라고 했다. 주택은 2015~2016년 크게 늘어난 착공이 준공으로 이어져 증가세가 큰 폭으로 축소되고, 비주거용 건물도 상가와 업무용 건물 등 상업용을 중심으로 증가세가 점차 둔화될 것으로 봤다.금융감독원은 최근 올해 업무계획을 발표하면서 리스크 요인의 체계적 관리 일환으로 증권사 채무보증 한도 규제를 검토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금감원 관계자는 "초대형 투자은행(IB) 업무가 본격화되면서 증권사들의 건전성을 보다 엄격히 관리할 필요가 커졌다"면서 "올해 하반기 쯤이면 어떤 방식으로 채무보증 한도를 규제할 지 윤곽을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박철응 기자 hero@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자본시장부 박철응 기자 her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