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안위, 북핵실험 증거 '제논' 5일만에 검출…'상세정보 확인중'

(사진=아시아경제DB)

[아시아경제 권재희 기자]원자력안전위원회는 지난 3일 북한이 감행한 6차 핵실험에 의해 발생한것으로 추정되는 방사성 '제논-133(Xe-133) 핵종이 국내에서 검출됐다고 8일 밝혔다. 원안위는 이날까지 육상·해상·공중에서 포집한 시료를 분석한 결과 육상에 설치된 고정식 포집 장비에서 제논-133이 미량 검출됐다고 말했다. 이는 북한이 6차 핵실험을 감행한 지 5일만으로, 검출된 양은 세제곱미터당 0.43 밀리베크렐(0.43 mBq/㎥)이다.원안위는 이번에 검출된 제논의 유입경로를 기류 분석 등을 통해 확인 중이다. 현재 진행하고 있는 이동식 포집 결과와 함께 종합 분석 후 북한 핵실험과 연관성이 있는지 최종 판단을 내릴 예정이다.자연에서 발견되지 않는 방사성 제논의 검출은 핵실험의 증거로 간주된다.원소번호가 54인 제논은 평상시에 공기 중에 미량이 존재하는 불활성 기체로, 동위원소의 원자량은 124∼136으로 다양하다. 이 중 원자량 125, 127, 133, 135인 네 종류는 자연상태에서 발견되지 않는 제논 동위원소로, 이런 인공동위원소들이 탐지되면 핵실험이 있었다는 증거가 된다.제논의 인공동위원소 여러 종류가 한꺼번에 탐지되면 핵실험 여부뿐만 아니라 핵실험이 구체적으로 어떤 방식으로 이뤄졌는지에 대해서도 파악이 가능하다. 우라늄·플루토늄 중 어느 쪽을 썼는지, 단순 원자폭탄인지, 증폭핵분열탄인지, 본격적 수소폭탄인지, 폭발 효율이 어느 정도인지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아직까지는 제논-133만 미량 탐지된 상태다.한편 원안위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 국토 환경방사선 준위는 평상시 수준인 시간당 50∼300 나노시버트(50∼300 nSv/h)를 유지하고 있다. 이번에 포집된 방사성 제논이 우리 국토와 국민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없다.권재희 기자 jayful@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권재희 기자 jayful@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