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피아 포비아]①이번엔 '농피아'…식품 안전 위협하는 마피아

'살충제 계란' 파문으로 불거진 '농피아' 문제

'살충제 계란 파문'과 관련해 '농피아' 문제가 불거지면서 사회 곳곳에 깊숙이 뿌리 내린 이른바 '-피아'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세월호 참사 때 '해피아'가 불거지더니 지하철 사고가 발생하면 '철피아'가 도마 위에 올랐고, 원자력발전소 안전 문제에서는 '원피아'가 등장했었다. 여기에 먹을거리와 직결된 농축산 분야에서도 '농피아' 문제가 지적되면서 시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마피아'들에 대한 공포증(포비아)마저 생기고 있는 상황이다. 21일 관련 보도에 따르면 이번 살충제 계란 파동으로 연일 '농피아'가 여론의 뭇매를 맞고 있다. '농피아'란 정부에서 친환경 농산물 인증업무를 담당하다 퇴직한 뒤 민간업체에 재취업한 이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농축산 분야 공무원과 마피아를 합쳐 만든 단어다. 문제는 이 농피아들이 재취업한 민간업체에서 '살충제 계란' 상당수에 친환경 인증을 줬다는 점이다. 농피아와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의 유착이 이번 사태를 키운 것 아니냐는 비판이 쏟아지는 이유다. 농식품부 등에 따르면 정부로부터 친환경 농산물 인증기관으로 지정된 민간업체는 64곳인데 이중 13%에 농산물품질관리원 퇴직자들이 재취업했다고 한다. 대표를 맡고 있는 업체도 5곳인 것으로 전해졌다. 김영록 농식품부장관도 1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연 브리핑에서 "농산물품질관리원을 퇴직한 전직 직원 중 일부가 친환경 농산물 인증업체에서 근무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 전수조사 결과 부적합 판정을 받은 49개 농장 중 친환경 농장이 31개나 된다는 것은 소비자들의 공분을 사고 있다. 친환경 인증 마크를 보고 더 비싼 값을 지불했는데 오히려 살충제에 노출된 결과가 나온 셈이다. 친환경 농산물 인증제도는 1999년 도입돼 농산물품질관리원이 전담했으나 2002년부터 민간업체가 참여하기 시작했고 올해 6월부터는 민간업체가 모든 인증 업무를 한다. 이에 이낙연 국무총리는 20일 "소극행정이나 유착 등의 비리는 농정의 적폐이며, 이것을 이번 기회에 꼭 청산해야 한다"고 특별지시를 내렸다. 이 총리는 전날에도 농식품부를 방문해 "농산물품질관리원 퇴직자들이 친환경인증을 맡게 돼 모종의 유착관계가 형성돼 있다는 의혹이 있는데,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걸 끊어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김철현 기자 kch@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아시아경제 티잼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