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랠리 6주]코스피 3000? 4000?…'제이노믹스'에 달렸다

[아시아경제 박철응 기자]지난달 대선을 전후해 두 곳의 해외 증권사들이 한국 증시에 대해 가슴 설레는 전망을 내놓았다. 일본 노무라증권은 4월에 대선 이후 코스피가 3000까지 높아질 수 있다고 했으며, 대선 직후 홍콩 크레디리요네증권(CLSA)은 새 정부 임기 말 4000까지 도달할 것이라고 했다. 국내 증권사들은 올해 말 2500 안팎까지, 내년에는 2700~2800으로 코스피 최고치를 전망하고 있다. 해외에서 더 파격적인 상승을 점치고 있는 셈인데, 이는 이른바 ‘제이노믹스’를 통한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기대치를 반영했기 때문이다. 노무라증권의 경우 일본이 스튜어드십 코드(기관투자가의 의결권 행사를 유도하기 위한 자율지침) 도입 이후 주주 참여가 활발해지고, 기관과 외국인 투자자들의 신의성실 원칙이 강화돼 주가를 끌어올리게 됐는데 한국도 유사한 주가 재평가가 나타날 수 있다고 봤다. CLSA도 “한국 상장사들의 배당성향이 낮고 지배구조가 바닥 수준”이라는 점을 들어 그만큼 개선 효과가 크다고 분석한 것이다. 실제로 최근 한국 증시의 주가수익비율(PER)은 9.63배인데 중국은 13.51배, 인도 18.08배, 싱가포르 14.47배, 대만 14.00배다. 아시아에서도 가장 저평가돼 있다. 미국은 19.04배에 이르고 독일 14.32배, 영국 14.59배, 프랑스 15.92배다. 실적이 우수한 ‘기업’은 많아도 주주에게 적극적으로 이익을 환원하는 좋은 ‘종목’은 적다는 게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배당에 인색하다. 지난해 말 기준 한국 상장사들의 배당성향(순이익 중 배당금 비율)은 19.3%로 미국 53.8%, 일본, 35.2%, 대만 62.5%에 비해 턱없이 낮다. 전문가들은 소득 증대와 기업 지배구조 개선을 표방하는 ‘제이노믹스’가 배당성향을 높일 것으로 보고 있다.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스튜어드십 코드에는 30여곳의 사모펀드와 자산운용사들이 가입 의사를 밝혔으며 국민연금이 도입을 위한 연구용역을 진행해 올해 말이나 내년 초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새 정부 들어 급물살을 타는 분위기다. 한국거래소도 배당 관련 세금 부담 완화와 현금 대신 주식으로 재투자하는 제도 등 배당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새 정부가 소득 증대에 방점을 찍으면서 소비와 투자 심리가 호전되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이다. 지난달 한국은행 소비자심리지수는 108로 세월호 사고 이후 3년1개월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지수는 8년여만에 가장 크게 올랐다. 한 증권사 연구원은 “제이노믹스와 유사한 일본 아베노믹스 효과를 보면 소득이 드라마틱하게 늘었다기보다 배당 확대와 자기자본이익률(ROE) 증대를 바탕으로 주식시장이 상승했다”면서 “제이노믹스도 같은 길을 걸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소득 증대까지는 시간이 걸리지만 심리적 효과는 즉각적이라는 것이다. 이 연구원은 “시중 자금이 대기업에 치중돼 있고 저축 등에 묶여 있는 게 문제”라며 “새 정부 출범 이후 기업과 개인들이 모두 '이제 투자를 좀 해도 되겠구나' 하는 쪽으로 심리가 움직이고 있다”고 했다.지난 6일 임명된 김현철 청와대 경제보좌관은 서울대 일본연구소장을 맡았던 대표적인 '일본통'이기도 하다. 일본 게이오대학에서 경영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잃어버린 20년'을 체험하며 저성장 시대 생존법을 연구해왔다. 그는 "그동안 기업의 성장에 치우쳐있던 방식에서 탈피해 기업과 국민이 동시에 성장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한국 경제가 체질적으로 변화하는 지점에 이르렀고 이는 증시에 긍정적이라는 게 일반적 평가다. 박성현 삼성증권 연구원은 "중국이 최근 성장통을 겪고 있는 이유, 한국이 선진국 진입 문턱에서 저성장 함정에 빠진 이유도 그간 소비보다 수출과 투자 위주 성장 정책을 펼친 부작용"이라며 "투자자들은 소득 증대라는 정책 키워드를 활용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정원일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10조원 규모의 추경과 최저임금 상향에 대한 논의 모두 한국 경제를 상승시킬 수 있는 기제"라며 "소득수준별로 구분할 때 향후 소비 지출의 상승 동력은 저소득층에서 찾을 수 있다"고 했다. 박철응 기자 hero@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증권부 박철응 기자 her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