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미래다] 국민 57% '가장 부패한 집단은 정치인'

검찰·경찰 등 수사기관은 21.5%…공무원 6.7%, 기업인 5.7%, 종교인 5.0% 順

[아시아경제 류정민 기자] 국민 10명 중 6명은 대한민국에서 부정부패가 가장 심한 집단으로 정치인을 선택했다. 정치인을 가장 부정부패가 심한 집단으로 꼽은 이들은 56.9%에 이르렀다. 검찰과 경찰 등 수사기관을 선택한 이들도 21.5%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높은 순위에 올랐지만, 정치인과 비교할 때 격차가 컸다. 공무원(6.7%), 기업인(5.7%), 종교인(5.0%) 등이 뒤를 이었다. 이밖에 의사, 변호사 등 전문직은 2%, 자영업자는 1%로 조사됐다.  정치인이 가장 부정부패가 심한 집단이라고 응답한 이들은 세대와 성별을 불문하고, 가장 많았다. 한국사회의 부정부패 해소를 위해서는 정치인들의 각성이 요구되는 대목이다.

아시아경제 창간 29주년 특집 오픈서베이 여론조사 결과

이와 관련 문재인 정부도 정치개혁 공약을 통해 깨끗한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고위공직자의 비리행위에 대한 수사와 기소를 전담하는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를 설치해 검찰의 권력 눈치 보기 수사를 차단하겠다"고 다짐했다.  50대에서 부정부패가 심한 집단으로 수사기관을 선택한 이들이 많았다는 점도 주목할 부분이다. 50대의 25.3%가 이러한 견해에 동의했다. 반면 20대는 수사기관을 부정부패가 심한 집단이라고 선택한 비율이 18.0%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국제사회에서 대한민국의 국격과 품격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설문도 흥미로운 결과가 나왔다. '지연과 학연, 혈연을 탈피하려는 건전한 사회문화 정착'을 꼽은 이들이 전체의 절반에 가까운 46.6%에 달했다. '나보다는 우리라는 공동체적 사고'를 선택한 이들은 22.7%, '질서 지키기와 금연구역 지키기 등 사회적 약속'을 선택한 이들은 14.7%로 조사됐다. 이밖에 '노약자,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 보호 정서'를 선택한 이들은 8.6%, '개발 일변도가 아닌 자연 친화적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은 5.8%로 조사됐다. 50대는 나보다는 우리라는 공동체적 사고가 대한민국의 국격을 높이는 방안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29.8%로 다른 세대보다 높았다.  한편 남성과 여성 등 성별 의견은 전체 의견과 유사한 경향성을 보였다. 다만 남성은 사회적인 약속을 지키는 게 중요하다는 비율이 16.8%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여성은 사회적 약자 보호 정서가 중요하다는 비율이 11.0%로 상대적으로 높았다.류정민 기자 jmryu@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류정민 차장 jmryu@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