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 / 사진=아시아경제 DB
[아시아경제 성기호 기자]"마이크 잡는데 자유한국당은 15분에 1억, 국민의당은 5분에 5000만원입니다""집을 팔아야 될 판입니다. 돈 없는 사람은 어디 정치나 할 수 있겠습니까" '장미대선'이 다가오면서 정치권의 대선 출마 바람이 거세게 불고 있다. 이미 출마를 선언했거나 예고한 후보를 합치면 서른 명이 넘는다. 가히 대선후보자 난립의 시대다. 주요정당의 '잠룡'이라는 이름을 달기 위해서는 최소 수천만 원에서 최고 수억 원까지의 경선 기탁금을 내야 한다. 각 당은 후보난립을 막기 위해 경선 기탁금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물론 경선 후보들은 한푼도 돌려받지 못한다. 자유한국당은 예비경선과 본ㆍ경선 기탁금으로 1억원과 2억원, 더불어민주당은 5000만원과 3억5000만원, 바른정당은 1000만원과 2억원을 각각 책정했다. 국민의당은 예비경선 기탁금을 5000만원으로 정했고 본ㆍ경선 기탁금은 3억원 안팎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대선 예비후보 등록을 위한 기탁금 6000만원과 캠프 운영비를 비롯한 선거운용 자금은 별도다. 한국당의 경우 17일 실시되는 정견발표 이후 곧바로 여론조사를 통해 6명의 후보를 1차로 남기는 컷오프 제도를 도입했다. 1차 컷오프에서 낙마하는 군소후보는 15분의 정견발표 시간을 위해 예비 경선 기탁금 1억 원을 내야 한다. 기탁금 5000만원을 낸 국민의당도 이날 5분간의 정견발표를 거쳐 3명의 후보를 추려낸다. 결국 몇 분간의 마이크 사용료가 1억원인 셈이다. 선거법상 경선 후보로 등록한 후보들은 후원금 모금이 허용된다. 후원회를 조직해 공식 대선 전체 비용의 5%에 해당하는 24억4905만원까지 거둘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일찌감치 레이스를 준비한 더불어민주당 후보들에 비해 다른 당의 후보들은 후원금을 모집할 절대적인 시간이 부족하다 보니 본인 지출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민주당의 이재명 시장은 '흙수저후원회'를 통해 11억원을 모금하는 기염을 토했다. 문재인 전 대표의 후원금은 7억원, 안희정 충남지사는 5억원을 넘긴 상황이다. 군소 후보자들이 부러워할만한 수준이다. 이처럼 경선에서부터 엄청난 비용이 들어가자 일부 후보들은 부담감을 호소하고 있다. 한국당 경선에 참여한 김진태 의원은 "집을 팔아야 될 판"이라고 푸념했다. 홍준표 경남지사 역시 "돈이 너무 비싸다"면서 "후보자 돈을 뜯어서 행사하는 것은 좀 그렇다"고 불만을 표시했다. 심지어 정치권에서는 김문수 전 경기지사가 중도낙마를 선언한 이유 중에서 현실적인 '돈' 문제도 한몫 작용했다고 보는 이들이 많다. 사실상 당선 가능성이 거의 없는 후보들이 '생돈'을 날려야 하는 기탁금과 선거운동 비용을 내면서까지 대선에 뛰어드는 이유는 '포스트 대선'을 노리기 때문이다. 대선 출마로 정치적 중량감을 키우고 내년 지방선거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 수 있다는 계산이다. 가장 많은 후보가 출마한 한국당의 한 관계자는 "염불보다는 잿밥에 관심이 있는 후보들도 있는 것 같다"며 "경선완주보다는 당내 영향력을 키워 향후 정치적 행보를 유리하게 가져가기 위한 포석도 있다"고 지적했다. 성기호 기자 kihoyeyo@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부 성기호 기자 kihoyey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