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 보복 잠잠해진 中…탄핵보다 韓 차기 대선 관심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

[아시아경제 베이징=김혜원 특파원] 지난 주말 베이징에 위치한 롯데마트 중 가장 규모가 큰 주셴차오(酒仙橋)점. 화창한 봄 날씨에도 건물 곳곳에 깔린 공안 병력 탓인지 매장 주변에는 긴장감이 감돌았다. 대규모 반한(反韓) 시위대가 들이닥칠 것이라는 사전 정보에 대비해 롯데마트와 중국 당국은 경계 태세를 갖췄으나 결국 불매를 외치는 목소리는 들리지 않았다. 이유가 어찌 됐든, 박근혜 탄핵 결정 이후 한반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에 반대하는 중국인의 반발 수위가 낮아진 것은 현지에서 체감할 수 있을 정도다.중국 관영 언론은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논평 자체를 자제하면서 차기 정권과 대권 주자, 그리고 사드에 관한 이들의 찬반 성향에 관심을 쏟고 있다. 중국 내에서는 사드 배치 결정을 원점으로 돌리거나 혹은 배치 시점을 늦출 수 있다는 기대감과 이미 철회하기에는 늦었으니 실리를 챙겨야 한다는 회의론이 팽팽히 맞선 모습이다.중국일보망은 13일(현지시간) '박근혜 탄핵으로 인한 한국의 정국 변화가 사드 배치 전기(轉机)를 마련할 수 있을까' 제하 기사에서 "한반도 사드 배치는 기정사실화했고 차기 대통령이라도 바꾸기 힘든 상황이다. 야당이 집권당이 돼도 사드 진입을 막기는 어렵다"며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중국일보망은 이날 한미 군 당국이 시작한 키 리졸브 연합훈련에서 처음으로 사드 운용 개념을 도입한 점을 들면서 미국 정부와 한국의 집권 보수 세력이 차기 정부가 들어서기 전 사드 배치를 끝내기 위해 속도를 내고 있다고 덧붙였다.인민일보 해외판의 소셜미디어 매체인 샤커다오(俠客島)는 "한국의 차기 정부가 사드를 철회할 것이라고 기대를 갖는 것은 중국을 스스로 피동적인 위치에 가둘 뿐"이라면서 "우리는 계속 주동적으로 칼날을 휘둘러야 한다"고 주장했다.반면 환구시보는 사평에서 "박근혜 탄핵과 관련한 전말은 한국의 외교와는 직접 관련이 없으나 두 달 여 만에 대선이 치러지고 야당이 집권 여당이 되면 한국의 외교 정책은 재조정할 수밖에 없다"고 봤다. 그러면서 한국에서는 박 전 대통령에 대한 청산이 철저히 이뤄지고 있는데 그가 임기 중 결정한 사드를 포함한 외교 정책은 그대로 이행되고 있다고 에둘러 속내를 드러냈다.중국에서는 박 전 대통령 탄핵보다는 오는 5월 치러질 차기 대선에 더 관심을 쏟는 분위기다. 베이징의 한 소식통은 "한국의 정국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면서 사드 배치를 최대한 늦추려는 전략"이라며 "내달 중미 정상회담 성사 여부와 사드 문제의 접점을 찾느냐에 따라 향후 한반도 정세에는 또 다른 변화가 일 수 있다"고 내다봤다.신화통신은 한국이 탄핵 정국에서 대선 정국으로 빠르게 전환하고 있다면서 현재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1인 독주 체제라고 보도했다. 환구시보 역시 한국의 거대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의 문 전 대표가 대권 도전 의사가 확실하고 각종 여론조사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다면서 "대북 문제에 있어 제재와 협상을 병행하는 그가 사드 배치에 대해 소극적인 입장이나 대통령이 되면 큰 변화를 단언하긴 어렵지만 한국의 외교가 새로운 국면을 맞을 수도 있다"고 평가했다.신경보는 지난 10일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을 제외하고 문재인·안철수·안희정·이재명 등 4명의 차기 대권 주자가 사드에 대해 반대에 가까운 중립이라고 보도하면서 "새로운 대통령이 선출되면 한반도 사드 배치에 대한 입장도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이런 상황에서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부 장관이 이번 주 4박5일 일정으로 한국과 일본에 이어 중국을 공식 방문해 중국의 무역 보복 조치로 이어진 사드 갈등이 변곡점을 맞을 지도 눈길이 모아진다. 틸러슨 장관은 방중 기간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왕이(王毅) 외교부장을 만나 한반도 사드 배치에 반대하는 중국과 역내 현안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베이징 김혜원 특파원 kimhy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베이징 김혜원 특파원 kimhy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