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문일답]서울 지하철 '안전' 최우선…'뒷받침 할 제도 필요'

서울시, '서울지하철 안전보강대책' 8일 발표

▲위 사진은 기사와 관련없음. (사진=아시아경제DB)

[아시아경제 금보령 기자] 서울시는 지하철 운영 패러다임을 '정시성(定時性)'에서 '안전'으로 바꾼다고 8일 밝혔다. 이에 지하철 시설물·인력·시스템 등 전반에 걸쳐 안전 기능을 보강하고 사물인터넷(IoT) 등 ICT를 활용한 스마트안전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하는 '서울지하철 안전보강대책'을 이날 발표했다. 아래는 윤준병 시 도시교통본부장과의 일문일답 내용이다. -2인 승무 관련해서 행정자치부에 총액인건비 증액 협의 요청했다고 하는데 결과는 대략 언제쯤 나오나.▲사업비 협의는 4월10일쯤 행자부랑 시작한다. 5월까진 저희들이 비교조사 결과를 낼 예정이다. 전문가들이 함께 참여해서 조사하고 있다. 현실적인 대안인지에 대한 비교조사 결과는 5월까지 마련해볼까 한다.-정시 운행에서 안전으로 패러다임 바꾼다는 게 단순한 선언인가 아니면 제도적 뒷받침이 따라오는 건가. 현실적으로 정시 운행이 민원이나 평가와 연결돼 기관사들의 부담이 굉장히 큰데 불안감을 잠재울 수 있는 제도가 있는 건가. ▲패러다임이 바뀌려면 이를 뒷받침 할 수 있는 여러 가지가 필요하다. 매뉴얼이나 요구사항을 미준수했을 때 나올 수 있는 페널티 등에 대해 뒷받침 할 제도가 필요한 건 사실이다. 예전에 사고 났을 때 정시성 보다는 안전이 중시될 수 있도록 현장·운영매뉴얼은 교체했다. 중앙정부의 공기업 평가 기준에서 지하철 운영기관은 정시성보다 안전이 될 수 있도록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지하철 2~3호선 노후차량이 지난달에는 620량이라고 발표했는데 오늘은 610량이라고 했다. 10대는 지금 교체된 건가.▲구체적으로 발표하기 전에 점검을 해봤더니 여러 가지 상황을 봐서 10량이 조정됐다.금보령 기자 gold@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금보령 기자 gold@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