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 수도권 초미세먼지 원인은 중국 등 국외

[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올해 초 수도권에서 발생한 초미세먼지(PM2.5) 원인을 분석한 결과 중국발 스모그 등 국외 영향이 65∼80%였던 것으로 파악됐다.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은 1월 2∼5일과 18∼19일에 나타난 수도권 초미세먼지 원인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24일 밝혔다. 먼저 지난 2일 중국에서 발생한 스모그가 계절풍인 북서풍을 타고 수도권으로 유입된 후 남부지방으로 이동하며 국내 배출 오염물질을 더욱 악화시켜 고농도 초미세먼지를 발생시켰다. 중국 등 국외 영향 비중은 65∼74%로 추정됐다.성분 측정 결과 질산염은 평상시(8.0㎍/㎥)보다 3.3배(26.2㎍/㎥), 유기탄소는 평상시(6.4 ㎍/㎥) 3.0배(19.1 ㎍/㎥), 황산염은 1.6배 각각 증가했다.18∼19일에도 중국발 미세먼지가 서해상으로 유입된 후 국내 배출오염물질과 합쳐져, 대기정체로 오염물질이 발생하며 고농도 초미세먼지가 발생했다. 국외 영향 비중은 75∼80%였다. 이 기간 유기탄소는 평상시(6.4㎍/㎥)에 비해 2.7배(17.1㎍/㎥), 질산염은 평상시(8.0 ㎍/㎥) 1.9배(15.4 ㎍/㎥), 황산염은 1.4배로 각각 늘어났다.국립환경과학원은 2013년부터 전국 6개 집중측정소를 비롯, 총 22개 성분측정망에서 미세먼지 원인규명을 위한 성분분석을 추진하고 있다.집중측정소는 백령도, 수도권, 호남권, 중부권, 제주권, 영남권 등 6곳에 있다. 성분분석 물질로는 탄소성분(원소탄소·유기탄소), 이온성분(황산염·질산염 등), 중금속성분(납 등) 등이다.전국적으로 미세먼지 주요 배출원 비중을 보면 사업장이 41%로 가장 높고, 비도로이동(17%), 발전소(14%), 경유차(11%) 등으로 파악됐다. 수도권은 경유차(29%), 비도로이동(22%), 냉난방 등(12%)이 주요 배출원으로 나타났다.국립환경과학원은 원인물질과 지역·계절별로 세분화해 분석한 후 2월말까지 전문가 검토를 마치고 '미세먼지 배출원 세부 규명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세종=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경제부 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