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평균 1.5회 ‘정전’, 대산단지 전기 공급 불안정 ‘투자 위축’ 우려

[아시아경제(내포) 정일웅 기자] 대산석유화학단지(이하 대산단지) 내 불안정한 전기 공급이 기업 투자자금 유치 등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22일 충남도에 따르면 대산단지는 한국전력공사 대산변전소에서 개별 선로에 의한 단일 공급체계로 전력을 공급받는다. 이는 여수와 울산 등 국가산단이 4~5개의 발전소와 각 6개의 변전소를 통해 전력을 받는 것과 비교할 때 정전에 노출될 확률이 높고 이로 인한 공장 가동 중단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낳는다.실제 대산단지는 지난 2006년 3월 변전소 변압기의 고장으로 두 개 업체가 104억원대, 같은 해 6월과 7월은 낙뢰로 인한 정전으로 10억~20억원의 피해를 각각 입었고 2007년 1회, 2009년 2회, 2010년 2회, 2011년 1회, 2012년 1회 등 정전 피해가 꾸준히 이어진 것으로 집계된다.하지만 2012년 이후부터는 업체들이 정전 사례와 피해액 규모를 밝히지 않아 공식적인 집계를 내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다만 도는 대산단지에서 발생한 낙뢰와 산불 등으로도 연평균 1.5회가량 정전이 발생하고 이 때문에 발생하는 피해액이 연간 5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문제는 대산단지 내 불안정한 전력 공급과 이와 맞물린 정전 피해가 기업 투자금 유치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는 데 있다. 현 전력 공급체계로는 대산단지에 예정된 대규모 기업 투자를 온전히 이어가기가 어려울 수 있다는 불안감에서다. 오는 2020년까지 예정된 대산단지 내 기업들의 투자 규모는 A기업 4000억원, B기업 3000억원, C기업 1조7000억원, D기업 2조1000억원, E기업 1800억원, F기업 2조원, G기업 9000억원 등 7조5800억원에 이른다.하지만 기업들의 투자계획에 따라 시설이 증설될 경우 최대 전력부하가 현재 788MW에서 앞으로 1203MW~1718MW까지 늘어나기 쉽고 그만큼 정전 사고에 대한 부담도 커질 수밖에 없다는 게 도의 설명이다.이 같은 상황을 감안할 때 기업이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받고 계획된 투자를 차질없이 진행할 수 있게 하려면 발전설비의 추가와 업체 간 환상망 연계가 무엇보다 시급하다는 게 도의 판단이다.한편 도는 ‘대산단지의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전력 공급 안정화 대책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대책마련에 고심 중이다. T/F는 도와 서산시, 대산단지 6개사, 전력 관련 전문가 등 20여명으로 구성돼 대산단지 내 전력공급의 안정화 대책 추진 로드맵을 논의하고 전력수급 관련 주요사항 학습과 전문가 자문과제 추진계획 발표 등의 활동을 전개한다.이와 별개로 대산단지 업체는 도와 정부에 잇따라 건의문을 전달하고 “송전선로가 1개 루트인 현 상황에서 한전의 송전선로 단락 사고나 낙뢰 등이 발생할 경우 대산단지 내 입주 업체가 막대한 피해를 입을 수 있다”고 문제제기하며 안정적 전력 공급 방안을 마련해 줄 것을 요청했다.도 관계자는 “대산단지는 국가 경제 기여도가 높은 데 반해 각종 인프라 지원에선 소외받고 있는 게 현실”이라며 “국내 주요 기반 산업인 석유화학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대산단지 인프라 개선이 절실하다”고 말했다.내포=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