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2013년과 다르다'…'한국증시 레벨업 기회 될 것'
[아시아경제 임철영 기자]전문가들은 역대 최고가를 경신한 삼성전자의 주가가 업종 내 차별화된 경쟁력와 반도체 부문의 이익 증가추세 덕에 추가상승 여력이 있다고 입을 모았다. 18일 삼성전자의 주가는 오후 들어 163만원을 돌파하며 장 중 163만2000원까지 치솟았다. 거래량은 26만주를 넘어섰고 거래대금만 4200억원에 달했다. 맥쿼리증권과 CS증권이 매수거래원 상위에 올라 삼성전자의 주식을 집중적으로 사들이고 있다. 시가총액은 230조원을 돌파했다. 오후 2시24분 현재 삼성전자의 시가총액은 230조7700억원 수준으로 유가증권시장 전체 시가총액 비중이 17.74%까지 높아졌다. 외국인의 '러브콜'로 삼성전자 외국인의 지분비중은 전 거래일 기준 51.04%였지만 이날 매수세로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삼성전자의 최근 주가 상승세와 관련해 지난 2013년과 달라진 증시환경에 주목했다. 특히 외국인과 기관의 수급이 2013년과 크게 달라진 상황이라고 판단했다. 이승우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150만원 안착에 어려움을 겪었던 지난 2013년에 비해 지금은 외국인과 기관 모두 수급측면에서 부담이 없는 상황"이라며 "실적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더라도 주가가 크게 하락할 가능성이 적고, 실적이 양호한 경우 기관과 외국인이 추가 매수할 여력이 충분하다"고 분석했다. 삼성전자를 둘러싼 외국인과 기관의 수급의 부담이 현저히 낮아졌고, 실적 개선과 주가에 대한 기대감이 과도하지 않아 일단 주가 측면에서 2013년 보다 긍정적으로 볼 수 있다는 설명이다.반도체 부문의 이익 개선세에 대한 기대감은 커진 반면 스마트폰 부분의 성장률 둔화가 실적과 주가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봤다. 삼성전자의 사업 포트폴리오가 그만큼 견고하다는 판단이다. 박기범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IT산업 내 부품의 수직계열화를 통한 이익 확보와 3D 낸드, OLED 등 분야에 과감한 투자로 동종업종 내 기술 격차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며 "반도체 사업부의 경우 업황 턴어라운드와 미세화 공정 기술 확보로 이익률이 더욱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D램과 낸드 가격이 유지되면 추가로 이익이 개선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승우 연구원은 "현재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에 대한 기대감은 성장률 한자리 수로 낮아진 가운데 지난 2013년 중국에 분기 1800만대를 팔던 삼성전자의 예상 판매대수도 700만대 수준으로 줄어들어 스마트폰 부분의 성장세가 부진하더라도 크게 잃을 것이 없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국내 주요 자산운용사 최고투자책임자(CIO)들 역시 삼성전자 주가 추가 상승에 무게를 실었다. 허남권 신영자산운용 최고투자책임자(CIOㆍ부사장)는 "그 동안 삼성전자 실적과 국내 제조업에 대한 시장의 우려가 있었는데 최근 삼성전자를 비롯해 상장사 반기 실적 발표를 보니 국내 제조업에 대한 우려가 완화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삼성전자 밸류에이션(평가가치)은 기업가치 대비 아직도 싼 편이라는 점도 강조했다. 허 부사장은 "삼성전자 주가가 숫자상으로는 신고가를 기록했지만 아직도 싸다"며 펀더멘털 측면에서는 주가가 추가로 상승할 여지가 있다고 관측했다.아울러 수급과 지배구조 개편 가능성이 최근 삼성전자 주가 상승을 견인했다는 분석도 나왔다. 최웅필 KB자산운용 CIO(상무)는 "삼성전자가 주도하는 시장상황이 지속되다 보니 기관 입장에서도 안담을 수가 없는 종목이 돼 수급 측면에서 좋은 상황"이라며 "실적도 좋고 자사주 매입ㆍ소각을 통해 주당 가치를 높이는 작업도 계속하고 있어 주가가 상승했다"고 진단했다.한편 삼성전자 주가의 역대 최고가 행진이 국내 증시의 수준을 전반적으로 끌어올리는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는 기대감도 나왔다. 허남권 부사장은 "한국 주식이 여전히 저평가된 상황인 데 삼성전자 주가 상승으로 한국 주식 전반이 레벨업 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임철영 기자 cylim@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증권부 임철영 기자 cyl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