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글로벌 車 경영환경]국내 연간 182만대 판매전망…3년 만에 감소세

車 내수시장 상반기 93만대, 하반기 89만대로 연간 182만대…전년 대비 0.5%↓

올해 연간 자동차 산업수요 2013년 이후 3년만 처음으로 감소세 전환 전망글로벌 연간 산업수요 2.4% 예상…2015년 이어 2년 연속 2% 저성장 유지

[아시아경제 송화정 기자]상반기 큰 폭의 증가세를 나타냈던 국내 자동차 시장이 하반기에는 이와 맞먹는 하락세를 면치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특히 올해 국내 자동차시장 연간 규모는 2013년 이후 3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세로 전환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해외 자동차 시장 역시 하반기 성장률이 상반기 대비 낮아질 전망이다. 현대자동차그룹 산하 글로벌경영연구소(옛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는 21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16년 하반기 경영환경 전망'을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 상반기 국내 자동차 시장은 개별소비세(이하 개소세) 인하 연장과 국산 신차 판매 호조세에 힘입어 93만대가 판매돼 전년 동기 대비 9.0% 증가했다. 상반기 기준 성장률 9.0%는 지난 2010년 상반기에 16.2%의 성장률을 보인 이래 최대 수준이다. 상반기와 달리 하반기 국내 자동차 시장 상황은 크게 위축될 것이란 전망이다. 글로벌경영연구소는 하반기 국내 자동차 시장이 개소세 인하 종료와 경기 부진 영향으로 89만대 판매에 그치며 전년 동기 대비 8.7%, 상반기 대비 4.8%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정부가 하반기 경기 활성화를 위해 노후 경유차 폐차지원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이를 통한 판매 순증 효과는 3만대에 그쳐 판매 하락세를 피할 수 없을 것이란 판단이다. 이에 따라 올해 국내 판매 총계는 182만대를 기록, 전년 대비 0.5%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자동차 내수시장이 전년 대비 감소세로 돌아선 것은 2013년 이후 3년만에 처음이다. 국내뿐 아니라 하반기 글로벌 자동차 시장도 동반 침체가 예상된다.
전 세계 자동차 시장은 지난 상반기 전년 동기 대비 107만대가 늘어난 4374만대를 기록, 2.5%의 성장률을 나타냈다. 유럽과 중국이 각각 9.1%의 성장률을 나타내며 전체 성장을 견인했다. 반면 미국은 성장률 1.5%로 저성장을 이어간 데다가 브라질과 러시아는 각각 -25.1%와 -14.1%로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였다. 문제는 하반기 글로벌 자동차 시장이 상반기 보다 나아지지 않다는 점이다. 글로벌경영연구소는 하반기 글로벌 자동차 시장이 4452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2.2%의 성장률을 기록, 상반기 성장률 대비 0.3%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는 글로벌 저성장이 고착화된 가운데 브렉시트(영국의 EU 탈퇴) 이후 불확실성이 커지고 신흥시장 부진이 지속되기 때문이다. 특히 상반기 9% 대 성장률을 나타낸 유럽시장은 브렉시트 결정 이후 소비 심리 위축으로 하반기에 0.7% 밖에 성장하지 못할 것이란 전망이다. 미국시장 성장률도 하반기 1.2%에 그쳐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7년만에 최저 성장률인 연간 1.3%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올해 연간 글로벌 자동차 시장 산업수요는 총 8826만대로 2.4% 성장하며 2.3% 성장률을 보였던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2% 대의 저성장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지금까지는 자동차 수출 감소에도 다행히 내수가 성장해 주면서 버텨낼 수 있었지만 하반기에는 내수, 수출 동반감소로 경영 불확실성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며 "자동차 산업은 전후방 연관 산업 효과로 국가경제에 기여하는 바가 큰 만큼 국가적 차원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송화정 기자 pancak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송화정 기자 pancak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