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노태영 기자]6자회담 당사국 외교 수장들이 이달 말 라오스에서 열리는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 관련 연례 외교장관회의를 계기로 한자리에 모인다. 라오스 수도 비엔티안에서는 오는 26일 제23차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외교장관회의를 시작으로 한·아세안 외교장관회의, 아세안+3(한중일) 외교장관회의, 동아시아정상회의(EAS) 외교장관회의 등이 잇따라 열린다.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리용호 북한 신임 외무상 등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 6자회담 당사국 외교수장 대부분이 비엔티안을 찾아 각종 양·다자 회동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특히 주목되는 것은 '대북제재' 국면에서 북한 측의 움직임이다. 지난 5월 리수용 전 외무상에게 바통을 넘겨받은 리용호의 행보에 관심이 쏠린다.6자회담 당사국과 아세안 등 27개국이 가입한 ARF는 북한이 참여하는 유일한 역내 다자협의체인 만큼 북한은 매년 ARF 외교장관회의에 외무상을 파견해 왔다. 올해 회의에도 리용호가 참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앞서 북한은 리수용 노동당 국제담당 부위원장과 최선희 외무성 미국국 부국장을 잇따라 중국에 보내 국제사회의 제재 공조 흔들기를 시도했다.따라서 한국과 미국 등은 참가국들을 상대로 대북 압박 공조를 재확인 할 전망이다.중국·러시아와의 양자 회동과 아세안과의 다자회의, ARF 의장성명 등 회의 결과문서에 강력한 대북 메시지를 담는 데 외교력을 쏟을 것으로 보인다.다만, 여러 변수도 존재한다. 이번 회의는 시기상 미국과 중국 간 갈등 사안인 남중국해 문제가 최대 현안으로 부각될 가능성이 커 북핵 문제에 대한 집중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네덜란드 헤이그의 상설중재재판소(PCA)는 오는 12일 필리핀의 제소로 이뤄진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에 관해 판결을 내릴 예정이기 때문에 ARF 회의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중국은 판결을 수용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외교부 고위 당국자는 최근 기자들과 만나 "북핵, 남중국해는 물론 동중국해 문제까지 신경 쓰는 나라들이 있다"며 "하드코어 안보 문제가 (ARF에서) 훨씬 더 부각하지 않겠나 생각한다"고 말했다.아울러 올해 회의를 주재하는 아세안 의장국이 북한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어온 라오스라는 점도 주목된다. ARF 의장성명은 의장국의 입김이 비교적 강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강력한 문안 도출을 장담하기 어렵다는 우려가 나온다.노태영 기자 factpoet@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노태영 기자 factpoet@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