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경제전망]올해 성장률 3.0→2.6% 하향조정…'구조조정으로 더 나빠질수도'

[아시아경제 조영주 기자]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0%에서 2.6%로 하향 조정했다. 내수와 수출이 부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내년에도 이 같은 부진이 이어지면서 2.7% 성장하는 데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이번 전망치에는 산업 구조조정에 여파를 반영하지 않은 것이어서 구조조정 속도와 규모에 따라 더 떨어질 가능성이 남아 있다.소비자물가는 올해 1%대 초반의 낮은 상승세를 이어가다 내년에는 유가하락의 영향을 벗어나 상승세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KDI는 24일 발간한 'KDI 경제전망 2016년 상반기호'에서 "우리 경제는 내수가 건설투자를 중심으로 완만하게 증가하겠으나, 수출부진이 지속되면서 2016년과 2017년에 2%대 중반의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분기별 성장률은 올해 1분기 2.7%에 이어 2분기에는 3.0%로 오르지만 3분기(2.4%), 4분기(2.2%)에는 다시 내리막길로 접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KDI는 "올해 우리 경제는 세계경제 성장세 둔화로 인해 수출과 설비투자가 부진하겠지만, 지난해 하반기 이후 지속된 양호한 주택분양으로 인해 건설투자가 확대될 것"이라고 진단했다.현재 진행중인 산업 구조조정이 본격화 되면 성장률에는 더 나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김성태 KDI 거시경제연구부장은 "구조조정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일정부분 실업이 증가할 수밖에 없는데, 그만큼 가계부문에서 구매력이 하락하고 소비심리와 투자심리가 위축되는 등 실물경기를 둔화시킬 것"이라며 "구조조정이 어떤 식으로 흘러갈 지 예단하기 쉽지 않아 올해와 내년 성장률 전망치에 구조조정의 부정적 영향을 직접 포함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특히 내수부진의 원인으로 꼽히는 소비침체는 하반기에 더욱 심화될 것으로 관측했다. 총소비는 1분기 2.6%에서 2분기에 3.0%로 상승했다가 3분기 2.4%, 4분기 1.7%로 급락할 것으로 분석했다. 민간소비도 2분기 2.9%에서 3분기 2.4%, 4분기 1.6%로 떨어질 것으로 봤다. 이에 대해 KDI는 "저금리, 저유가가 유지되면서 소비여건이 개선되겠지만 기대수명 연장 등 구조적 요인에 의해 증가세는 제한적일 것"이라고 지적했다.투자도 큰 폭의 감소세를 예상했다. 총고정투자는 1분기 3.1%에서 2분기 3.4%로 늘겠지만 3분기 1.5%, 4분기 0.4%로 줄어들 전망이다. 특히 설비투자는 하반기에도 마이너스 성장을 지속해 연간으로 3.0%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건설투자의 경우 1분기와 2분기에 각각 8.7%, 7.4%로 높은 성장세를 유지하겠지만 3분기와 4분기에는 4.2%, 1.9%로 성장률이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내년에는 설비투자 3.3%, 건설투자 2.9% 등으로 총고정투자는 2.8%를 기록해 올해(2.1%)보다는 개선될 것으로 추정했다.수출은 올해 5040억달러를 예상했다. 수출증가율은 1분기 -12.2%, 2분기 -11.1%, 3분기 -6.7%, 4분기 -4.8%로 감소폭이 서서히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내년에는 수출액 5043억달러로 올해와 비슷한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경상수지는 불황형 흑자가 이어지는 가운데 올해 지난해(1059억달러)보다 많은 1103억달러를 기록하겠지만, 내년에는 교역조건 악화로 소폭 감소한 1019억달러를 예상치로 제시했다.소비자물가는 올해 1.1%를 기록하고 내년에는 1.7%로 오를 것으로 분석했다. KDI는 "기대인플레이션이 낮게 유지되고 성장세도 완만함에 따라 낮은 상승세가 지속되겠으나, 내년에는 유가하락의 영향이 소멸되며 상승세가 소폭 확대될 것"이라고 부연했다.실업률은 올해 3.8%로 지난해(3.6%)에 비해 다소 오를 전망이다.김 연구부장은 "부실기업 구조조정이 지연되면서 우리 경제의 불확실성이 확대되거나, 구조조정 과정에서 대규모 실업이 발생하는 등 부정적 여파가 경제 전반으로 확산되는 경우 우리 경제의 성장세는 둔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세계경제 성장률이 하락세를 지속하며 작년 수준을 하회하거나, 중국의 급격한 구조조정,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신흥국의 경기 급락이 발생하는 경우 우리 경제의 성장세가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세종=조영주 기자 yjcho@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조영주 기자 yjch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