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고재호 전 대표 시절 연임 결정 앞두고 무리한 수주 대우조선해양은 주인 없는 회사 매출 압박 할수록 회생 어려워져구조조정 요구하는 정부·채권단, 수주의 양보다는 질 따져야
[아시아경제 심나영 기자]2014년은 조선3사 중 대우조선해양이 가장 '잘 나가던' 해였다. 적어도 수주 물량만 보면 그랬다. 그해 대우조선해양의 수주량은 149억달러(약17조원)였다. 삼성중공업 73억달러(약8조원)의 2배 이상이었다. 삼성중공업은 물론 현대중공업까지 적자를 내는 와중에도 대우조선해양만 '나홀로 흑자 '를 이어가던 시절이었다. 시기가 묘했다. 2014년은 고재호 전 대우조선해양 대표의 임기 마지막 해였다. 그는 다음 해 연임 결정을 앞두고 있었다. 조선업계에서는 고 전 대표가 저가 수주를 하고 부실을 감춰놓고 있다는 의혹이 번졌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은 오너가 책임지고 운영하지만, 주인 없는 대우조선해양은 CEO 선임 때마다 시끄러웠다"며 "고 전 대표로서는 연임을 위해서라도 본인의 업적 쌓기를 우선순위로 두는 유혹에 빠지기 쉬웠을 것"라고 돌이켰다. 2년이 흐른 지금 대우조선해양이 '방만경영'의 대명사가 됐다. 소문은 현실이었다. 그때도 대우조선해양은 곪을 데로 곪아 있었다. 지난 3월 대우조선해양은 엉터리 회계를 바로 잡아 지난해 적자 5조 5000억원 중 2조원을 2013년과 2014년에 반영했다.당시 수주물량이 '저가수주의 결과'라는 주장을 뒷받침해 주는 증거들 중 하나다. 대우조선해양이 손해나는 수주를 막겠다며 '위험관리부'를 신설한 것도 이 때문이다. 올해 대우조선의 수주는 단 1건. 그것도 자회사인 망갈리아 조선소에서 짓던 탱커선 두 척을 가지고 온 게 전부다.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대표는 지난 26일 정부가 조선업 구조조정 방안을 발표할 때도 '일감'을 찾아 해외에 나가 있었다. 아시아권 국가로 출장을 갔다가 그날 저녁에야 입국했다. 숨 돌릴 틈도 없이 다음주 해양플랜트 시황을 알아보러 미국에 간다. 구조조정 이상으로 중요한 것이 회사를 버티게 할 수주라는 그의 생각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대우조선해양이 체질 개선을 하려면 정부와 채권단이 주문한 인력 구조조정ㆍ비용 절감만으론 부족하다. 전문가들은 2018년쯤 업황이 되살아날 것이라 예상하고 있다. 발주가 쏟아져 나올 때를 대비해야 한다. 대우조선해양이 과거와 달리 선별적 수주를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게 필요하다. 채권단이 압박해야 할 건 매출이 아니라 수주의 질이다. 그래야 투입한 5조 2000억원을 회수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린다. 정 대표의 초심도 필요하다. 그는 지난해 6월 취임하자마자 부실을 밝히며 "외형 성장은 자제하고 조선·해양을 중심으로 내실을 다지겠다"고 했다. 이제 겨우 그의 임기가 1년 지났다.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심나영 기자 sny@asiae.co.kr<ⓒ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