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상승률 0% 국가 27개국…D공포 확산전문가들 "美경제 침체 가능성 20%"각국 중앙은행 물가와 사투갈 곳 없는 투자금 안전자산으로
[아시아경제 조목인 기자]글로벌 경제에 디플레이션(물가 하락) 공포가 엄습하고 있다. 중국 경제는 급속한 둔화를 넘어서 외환·주식 시장까지 출렁이며 디플레이션 우려를 전 세계로 수출하고 있다. 유럽에 이어 일본도 깜짝 마이너스 기준금리를 도입하는 등 각국 중앙은행들은 물가를 끌어올리기 위해 사투를 벌이고 있다. 선진국 중 유일하게 세계 경제 성장을 이끌며 '나홀로 긴축'을 펴던 미국마저 흔들리는 것 아니냐는 걱정이 크다. ◆떨어지는 물가·디플레 빨간불= 1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기 대비 하락한 국가는 스위스·스페인·싱가포르·태국·이스라엘 등 10개국이다. 물가상승률이 0%대인 국가는 미국·영국·독일·일본 등 27국이다. 집계 대상국 81개 중 물가가 1%도 채 오르지 않은 나라가 45%에 달하는 것이다. 중국의 CPI는 1%를 조금 넘는 수준이지만 소비자물가의 선행지표격인 생산자물가지수(PPI)가 46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행진 중이다. 경기둔화 시기에 물가가 떨어지는 것은 큰 골칫거리다. 물가가 장기간 제자리걸음을 한다는 것은 소비가 공급을 따라가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업들은 계속 가격을 내리고 가계는 나중에 돈을 쓰는 것이 더 유리하기 때문에 소비를 미룬다. 기업 활동이 둔화되고 실업률이 오르면서 부동산과 주식 등 자산가격도 하락한다. 투자와 소비가 모두 곤두박질하는 디플레이션의 악순환이 발생하는 것이다. 각국 정부가 물가를 살리기 위해 총력전을 펼치고 있는 것도 이런 부작용을 막기 위해서다. 하지만 정부와 중앙은행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디플레이션 경고음은 높아지고 있다. 미국 억만장자 투자가 조지 소로스는 최근 중국 경제의 경착륙, 원자재 가격 하락, 경쟁적 통화절하를 디플레이션의 3대 요인으로 꼽으면서 "세계 경제가 1930년 이후 80년만에 처음으로 디플레이션에 빠질 가능성에 직면했다"고 전망했다.◆'나홀로 성장' 미국도 불안= 빠른 경기회복세를 보이던 미국 경제도 비상이 걸렸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미국의 견실한 노동 및 소비시장 개선이 강달러에 따른 제조업 부진을 상쇄할 것이란 의견이 많았다. 그러나 연초부터 글로벌 금융시장이 패닉에 빠지면서 상황이 바뀌고 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최근 51명의 경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향후 12개월 내 미국이 경기침체에 빠질 가능성은 20%로 점쳐졌다. 지난해 12월 조사(15%)에서보다 5%포인트 증가한 것이다. 미국의 추가 금리인상 전망도 점차 후퇴하고 있다. FT 설문에서 전문가들은 올해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를 2~3번에 걸쳐 0.25%포인트 올릴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해 말 미국이 9년여만에 처음으로 금리인상을 단행했을 때만 해도 3~4번에 걸쳐 0.75%포인트 올릴 것이라는 게 시장의 중론이었다. 미국의 성장률도 둔화세가 뚜렷하다. 미 상무부가 지난달 29일(현지시간) 내놓은 작년 4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0.7%(연율·예비치)로 시장 전망치를 밑돌았다. 로런스 서머스 전 미국 재무장관은 최근 한 강연에서 "현재 미국의 경제침체 가능성은 30% 정도인데 예상대로 올해 기준금리를 4번 올린다면 침체 확률이 50%로 확대될 것"이라면서 "미국 경제가 올해 4번의 금리인상을 견뎌낼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오판"이라고 언급했다. ◆비정상적인 국채 금리= 글로벌 디플레이션 공포는 각국 국채금리에도 반영되고 있다. 투자은행 JP모건은 지난달 29일 기준 전 세계에서 마이너스 금리로 거래되는 국채 잔액은 역대 최대치인 5조5000억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했다. 일본은행(BOJ)이 마이너스 금리를 도입한 이후 일본과 독일, 프랑스 국채금리는 모두 사상 최저치로 떨어졌다. 미국을 따라 금리를 올릴 것이란 예상을 깨고 각국 중앙은행들이 완화정책을 확대하고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확대되면서 채권을 매입하는 투자자가 이자를 받기는커녕 채권 발행자에게 수수료를 얹어줘야 하는 비정상적인 상황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조목인 기자 cmi0724@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조목인 기자 cmi0724@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