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손의료보험 인상 뚜껑 열어보니 최대 75% 올라

[아시아경제 이은정 기자] 금융당국이 보험료 산정과 관련된 규제를 폐지한 후 올해 실손의료보험료가 특정 연령대에서 최고 75% 이상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올해 실손의료보험료 전체 구간 평균을 최대 30% 인상할 수 있도록 한 규정을 악용한 것으로 특정 구간에서는 소비자 부담이 최고 75% 늘어나게 된다. 13일 아시아경제가 삼성화재ㆍ현대해상ㆍ동부화재ㆍ메리츠화재ㆍ흥국화재ㆍNH농협손보 등 주요 손보사의 실손의료보험 인상률을 조사한 결과 흥국화재가 0세 여아의 보험료를 75.8%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0세 남아와 50세, 55세 여성 보험료도 각각 68.3%, 61.3%, 61.1% 올렸다. 단 25세 남성 보험료의 인상률은 16.7%에 그쳤다. 이는 단독 실손의료비 표준형 상품, 최초 가입자를 기준으로 산출한 것이다. 가입금액은 입원 5000만원, 외래 20만원, 처방조제 10만원을 기존으로 했다. 흥국화재 관계자는 "전체 평균 인상률은 30% 미만"이라며 "보험료 인상과정에서 손해율이 높은 특정 연령대의 인상폭이 컸다"며 "당초 보험료 자체가 타사보다 낮다보니 전체 보험료만 보면 높진 않다"고 설명했다. 동부화재의 보험료 인상률은 최대 29.9%로, 55세 여성이 이 구간에 해당됐다. 30ㆍ35ㆍ50세 여성과 35세 남성의 보험료도 29.7% 뛰었다. 최저 인상률은 10.4%로 65세 남성이었다.현대해상의 성별ㆍ연령대별 보험료 인상률은 17~29.4%로 조사됐다. 특히 여성 보험료의 상승폭이 두드러졌는데 50ㆍ55ㆍ60ㆍ65세 여성의 보험료가 29.4% 뛴 것으로 나타났다. 20ㆍ35ㆍ40ㆍ45세 여성의 보험료도 29.3% 인상됐다. 최저 인상률이 적용된 구간은 5세 남아였다. 삼성화재의 보험료도 성별ㆍ연령별로 8.5~29.3%구간에서 인상됐다. 가장 인상폭이 컸던 구간은 20세 남성이었고 최저 인상률이 적용된 구간은 65세 남성이었다. 메리츠화재는 성별ㆍ연령별로 9.2~26.5%의 보험료 인상률을 기록했다. 이에 반해 농협손보는 65세 남성과 5세 여아의 실손의료보험료를 각각 5.9%, 1.2%씩 내려 대조를 보였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10월 보험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보험료 산정과 관련된 규제를 전면 폐지하면서 올해부터는 보험회사들이 보험료를 자유롭게 인상할 수 있게 했다. 다만 '제2의 건강보험'으로 불리는 실손의료보험의 경우 갑작스러운 인상폭을 막기 위해 위험률 조정한도를 단계적으로 완화하기로 하고 올해 위험률 상하한폭을 ±30%로 정했다. 실손의료보험 위험률이 30%로 조정되면 보험사들이 보험료를 최대 30% 올릴 수 있다는 의미다. 위험률 조정한도는 2017년에 ±35%로 확대되고 2018년 이후 완전 폐지된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보험가격 자율화 이후 각사별 가격 정책이 다양해지고 있다"며 "실손의료보험료 인상률도 춘추전국시대가 열린 만큼 가입조건과 가격을 꼼꼼히 비교해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이은정 기자 mybang21@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이은정 기자 mybang21@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