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홍유라 기자] 한국사교과서 국정화가 3일 확정고시되면서 역사전쟁의 1막은 종료됐다. 10월 12일 이후 약 한달 간 이어진 국정화 공방은 정치권의 희비를 엇갈리게 했다. 최근 4주간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의 여론조사 결과를 종합하면 여야 대표와 새정치민주연합은 웃었고 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은 울었다. 국정화 논란은 박 대통령의 지지율에 악영향을 끼쳤다. '국정수행을 잘하고 있다'는 긍정평가는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였고, '국정수행을 잘 못하고 있다'는 부정평가가 늘었다. 국정화 논란이 불거지기 시작했던 10월2주차를 기점으로 10월5주차에 이르기 까지 박 대통령의 지지율은 2.3%포인트 하락했다. 그에 비해 부정평가는 10주 만에 50%대를 기록했다. 지난주 박 대통령의 지지율은 44.5%로 조사됐다. 앞선 여론조사에선 ▲10월4주차 46.9% ▲10월3주차 48.0% ▲10월 2주차 46.8%였다. 지난달 14∼15일 방미일정으로 소폭 상승한 것 외엔 전반적인 하락세였다. 박 대통령이 전면에 나서 진두지휘한 국정화 강공 드라이브가 자충수가 된 셈이다. 박 대통령의 회심의 카드로 꺼내들었던 시정연설은 하락세의 변수가 되지 못했다. 시정연설이 있었던 지난달 27일의 지지율은 44.1%로 전일 조사와 동일했다. 청와대와 함께 새누리당도 국정화 역풍을 비껴가지 못했다. 새누리당의 정당지지도는 지난 한달 동안 1.1%포인트 떨어졌다. 새정치연합의 지지율이 1.5%포인트 상승하며 다시금 20% 중후반의 지지를 회복한 것과 대조적이다. 리얼미터의 10월5주차 주간집계에서 새누리당과 새정치연합의 지지율은 각각 40.6%, 27.2%로 나타났다. 새누리당은 ▲10월4주차 41.4% ▲10월3주차 42.8% ▲10월 2주차 41.7%, 새정치연합은 ▲10월4주차 24.7% ▲10월3주차 26.3% ▲10월 2주차 25.7%로 조사됐다.
엇갈린 정당지지도와 달리 양당 대표는 국정화로 인해 지지율에서 실익을 얻었다. 각자의 진영을 이끌며 보여준 리더십이 긍정적인 평가를 받은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의 지지율 흐름은 주목할 만하다. 18주 연속 차기 대권주자 선두를 지킨 김 대표. 그의 지지율은 당청의 지지율 하락에도 불구하고 국정화 정국 내내 나홀로 상승세를 기록했다. 김 대표의 지지율은 10월2주차(18.8%)부터 10월5주차(22.5%)까지 3.7%포인트 올랐다. 문재인 새정치연합 대표 또한 차기 대선주자 2인자 자리를 지켜냈다. 당의 내홍, 10·28재보선 이후 불거진 책임론 등을 모두 잠식시킨 국정화이슈는 문 대표의 지지율을 같은기간 16.9%에서 19.0%로 2.1%포인트 상승했다. 현재까지 여론의 향배는 야당에 유리한 국면이었지만 국정화 고시가 강행된 이후 여론 추이를 다시금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정부 고시의 경우 정부의지로 강행할 경우 이를 막을 방법이 야당으로서는 없기 때문이다. 문 대표와 새정치연합은 고시 이후에도 한국사교과서 문제를 부각하며 정부 여당과 대립각을 세울 것으로 보이지만 정부와 여당은 민생 등을 들어 교과서는 내려놓고 민생에 전념할 것을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이후 여론 추이가 정치권의 움직임을 결정하는 변수가 될 전망이다.한편, 리얼미터의 10월2주차 주간집계는 10월5일부터 8일까지 전국 성인 2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응답률은 전화면접 방식 19.5%, 자동응답 방식 4.8%,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2%포인트다. 10월3주차 주간집계는 10월 12일부터 16일까지 전국 성인 25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응답률은 전화면접 방식 18.7%, 자동응답 방식 4.7%였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0%포인트다. 10월4주차 주간집게는 10월 19일부터 23일까지 전국 성인 2584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응답률은 전화면접 방식은 20.3%, 자동응답 방식은 6.1%였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1.9%포인트다. 10월 5주차 주간집계는 10월 26일부터 30일까지 전국 2644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응답률은 6.4%(전화면접 18.9%, 자동응답 5.0%)였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1.9%포인트다.홍유라 기자 vandi@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홍유라 기자 vandi@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