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한미, 北 핵-경제 병진노선 포기시킬 대안 만들어야'

[아시아경제 김보경 기자] 방미 중인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28일(한국시간) "한미 양국은 북한이 '핵-경제 병진노선'을 포기하고 솔직하게 그들의 현실적 요구를 제시하게 할 외교안보적 대안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김 대표는 이날 워싱턴DC에 있는 우드로윌슨센터에서 오찬 연설을 통해 "미국이 이란 핵 문제를 해결하고 쿠바와 국교 정상화를 이룩했듯, 이제는 지구촌의 큰 골칫덩이인 북핵 문제를 해결하고자 그간의 전략적 인내를 뛰어넘는 창의적인 대안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강조했다.아울러 "통일 한국은 한반도는 물론 주변 국가에 평화배당금(Peace Dividend)을 안겨주면서 동북아 성장 동력이 되고 세계의 평화와 안정에 기여할 것"이라며 "현재 동북아의 급변하는 정세 흐름을 볼 때 한반도의 통일은 생각보다 이른 시일 내에 올 수 있다"고 전망했다.김 대표는 한미 군사 동맹과 관련해 "김정은이 국내 정치 상황에 따라 언제든지 대외적으로 무력도발을 일으킬 가능성을 우리는 항상 염두에 둬야 한다"면서 "한국과 미국은 어떠한 무력도발에도 강력한 응징이 가해질 수 있음을 김정은과 북한에 충분히 인식시켜야 한다"고 말했다.또 동북아시아 정세에 대해 "미국과 중국, 중국과 일본이 상호 대립과 대결보다는 협력과 공조를 추구하는 것이 역내 평화와 안정을 위해 매우 긴요하다"면서 "이는 한국뿐 아니라 이 지역 관계국 모두의 국익에도 부합하는 것"이라고 진단했다.이어 "한국은 역내 평화와 협력을 위한 '촉매자' 역할을 하고자 한다"면서 "우리는 동북아에서 평화와 협력의 새로운 국제질서를 수립해 나아가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강력한 한·미 동맹이 든든한 뒷받침이자 기축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김 대표는 참석자들과의 문답에서 "북한을 먹고 살게 할 수 있는 건 중국의 경제력"이라며 "한국과 중국의 경제 교류 범위가 더 넓어져 중국이 한국을 중요한 파트너로 보는 생각이 굳어지게 만들고, 그 힘을 통해 북한을 컨트롤하게 되면 통일이 한 발짝 더 가까워질 수 있지 않을까"라고 전망했다. 김 대표는 한일 관계와 관련해 "종전 70주년에 일본 총리의 기념사가 종전 50년 때 무라야마 전 총리가 했던 기념사, 종전 60년 때 고이즈미 전 총리가 했던 기념사에서 후퇴한다면 한일 관계는 또 어려워질 것"이라고 지적했다.김 대표는 우리 정부의 대미, 대중 관계와 관련해 "한국과 미국과의 관계는 전면적인 관계이고, 한중 관계는 분야별 일부의 관계이다. 한미동맹은 글로벌 문제 해결에 같이 힘을 합해서 역할을 하는 동맹"이라며 차별성을 강조했다.우리나라의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가입 문제에 대해서는 "한국은 가입 의사가 적극적으로 있다"면서 "가입해서 미국과 가입국 간 경제 교류 장벽을 없앨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