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한반도 주변 활화산 감시·대책 수립 나선다

정부, 관련 시스템 구축사업 추진..화산재난 대응시스템 고도화 사업 예정

사진작가 제프 맥클리가 남태평양 바누아투 공화국 앰브림 섬의 마룸 분화구에서 LG G3로 촬영한 실제 활화산 이미지.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정부가 백두산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 위협을 줄만한 한반도 주변 화산 전체에 대한 모니터링 및 재해 대응 시스템 구축에 나섰다.국민안전처는 이같은 내용의 '한반도 주변 화산분화 위험을 고려한 화산재해 대응체계 구축 사업'을 추진한다고 20일 밝혔다.안전처는 이에 앞서 2012년 3월부터 올해 6월까지 백두산 화산 폭발에 대비하기 위해 ‘백두산화산대응기술개발사업단’을 운영해 화산 재해 대응시스템을 구축, 백두산 분화 시 피해예측 및 피해예방을 위한 관리 기반을 마련했다.그러나 이 시스템은 백두산 화산 분화에만 국한된 것이다. 백두산을 포함한 주변국 화산재해에 따른 한반도의 위험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화산재해 대응시스템의 고도화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이에 따라 안전처는 화산과 같은 국경을 초월한 신종 재난에 대한 선제적 대응체제 구축을 위해 백두산 등 동북아시아 지역에 위치한 화산의 분화에 따른 화산재 확산예측 및 피해예측이 가능한 화산재해 대응시스템 고도화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 사업은 올해 안전처 연구개발(R&D) 프로젝트의 하나로 진되며, 지난 5월 연구과제 수행기관과의 협약을 시작으로 2018년 4월까지 3년에 걸쳐 수행될 예정이다. 정부는 이를 통해 한반도 주변국 화산재해 위험도 분석, 정량적 화산재 취약도 구축과 주변국을 포함한 화산재해 공동 대응 전략 수립 등 화산 재해 대응시스템을 고도화할 계획이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