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민들 자연재해·건물 붕괴 위협에 떤다

서울시, 2014 서울서베이 조사 결과 발표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서울에 사는 시민들의 삶의 질과 행복, 안전 의식 등을 살펴 볼 수 있는 자료가 나왔다. 서울에는 49세 남자가 가장으로 2.65명의 가족이 평균 300만~400만원의 수입으로 살고 있다. 전체 가구의 절반이 주거 비용으로 인해 빚을 지고 있으며, 10년 전보다 현재가 더 안전하지 않다고 여기는 등 도시 위험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서울시는 서울시민이 느끼는 삶의 질, 계층 구조 및 시민의식, 사회적 신뢰 및 공동체 의식, 주요 생활상 등 217개 지표(12개 분야, 42개 영역)에 대해 조사한 '2014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조사는 2003년 시작돼 올해 12회째다. 시가 주민등록과 과세대장을 연계해 독자적인 표본추출틀을 구축해 조사한 결과다. 이에 따르면, 2014년 서울의 평균적인 가구 모습은 49세 전문대졸 학력의 남자가 가장(가구주)으로, 평균 가구원수는 2.65명, 가구 월평균 소득은 ‘300~400만원’ 사이로 나타났다.가구구성을 보면 1~2인 가구가 전체가구의 48.0%를 차지했다. 특히 부부, 부부+기타 등 동일세대로 구성된 1세대가구가 38.0%로 가장 높았다. 또 서울시민 10가구 당 2가구 정도는 반려동물을 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서울시민 직업 비중은 30대는 사무직이 높고, 50대 이상은 단순노무, 판매, 장치·기계 조립 등 블루컬러 비중이 급격하게 높아졌다.특히 서울 시민들은 주거 비용으로 절반 가까이 빚을 지고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 부채율은 48.2%였는데, 주된 부채이유는 주택임차 및 구입이 64.4%로 가장 높았다. 연령별로는 30대는 주택구입, 40대는 교육비 부채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관련 50대 이상은 주택소유 자가비율이 61%인 반면 30대는 전·월세 비율이 84%를 차지했다. 5년 이내 이사계획이 있는 가구는 24.2%로 2007년 이후 가장 낮게 나타났다. 서울 시민들이 느끼는 행복 점수는 72점(100점 만점)으로 연령이 낮을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주관적 계층의식이 높을수록 점수가 높았다. 권역별로는 동남권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서북권, 도심권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계층 이동 가능성에 대해선 서울시민 30%만이 '높다'고 응답했다. 우리사회 허리인 40대(29.8%)와 60세 이상 연령층(26.7%)은 다른 연령층에 비해 가능성을 낮게 내다봤다.서울에서의 가장 큰 사회적 차별요인은 소득(51.4%), 교육수준(44.0%), 직업(39.7%)을 꼽았다. 청장년층(25세~34세)은 외모(21.9%)도 차별의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응답했다. 세월호 참사 등의 영향으로 도시위험도가 증가했다. 시민들의 44.7%는 "10년 후 현재보다 위험 커진다"고 55.7%가 ‘10년 전보다 오늘날의 위험요소가 증가했다’고 답했다. 특히 자연재해(3.28점→4.54점), 건축물 붕괴(3.76점→4.77점) 등에 대해 위협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생활의 안전환경 중엔 주차질서(49.7%), 쓰레기방치(39.8%), 범죄폭력(33.7%), 대기오염(33.3%) 문제가 심각하다고 지적했다.‘노인복지 확대를 위한 세금부담’에 대한 동의 정도는 전년대비(5.42점/10점 만점) 낮아진 5.06점으로 조사됐다. 세금부담에 대한 의향이 점차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난이 사회제도에 책임이 있다’는 인식은 전년(5.44점)과 비교해 낮게(5.22점) 조사됐고, ‘장애아와 함께 어울리는 것’에 대한 허용 정도는 전년도 5.65점에서 6.14점으로 상승했다.보육시설 이용만족도는 조사 이래 처음으로 7점(7.05점/10점 만점)이상으로 높아졌다. 시설 유형별로는 국공립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학생이 있는 가구의 교육환경 만족도는 공교육(5.50점), 사교육(4.71점) 모두 전년대비 하락해 여전히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이번 조사는 2014년 10월 한 달간 서울시내 2만 가구(15세 이상 4만5496명) 및 거주외국인 2,500명, 사업체 5,500개를 대상으로 방문면접 방식으로 실시됐다.최영훈 시 정보기획관은 “서울서베이 결과에 나타난 서울시민들의 생활상을 면밀하게 분석해 시정운영과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한편 통계자료를 기반으로 한 과학적 시정운영의 기반을 확립해 서울이 준비해 나가야 할 미래를 예측 대비 하겠다”며 “5월 말엔 열린데이터광장(//data.seoul.go.kr)에 원 자료(Raw data)를 공개해 학술 및 정책연구 등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