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최대열 기자]올해 전국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지난해보다 평균 3.1% 올랐다. 정부가 각종 부동산정책을 내놓은 데다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고 있는 점이 영향을 끼쳤다. 연간 상승폭으로는 2012년 이후 3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29일 국토교통부는 올해 1월 1일을 기준으로 한 전국 공동주택 1162만채의 가격을 공시했다.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이 2.5%, 인천을 제외한 광역시가 5.1% 올랐다. 수도권과 광역시를 제외한 시ㆍ군은 평균 3.6% 올랐다.지난해까지만 해도 지역이나 주택가격 수준별로 다소간 온도차가 있었는데 올해는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전반적으로 오름세를 보였다. 수도권 지역은 재건축연한을 단축한 9.1대책 등 정부의 각종 규제완화 정책이 시장에 영향을 줬다. 아울러 저금리로 인해 전세물량이 줄어들면서 매매전환 수요가 늘어 가격을 끌어올리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지방은 상대적으로 상승폭이 더 큰데, 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으로 주택수요가 한꺼번에 몰린데다 각종 개발사업이 추진되면서 가격이 올랐다. 외국인 관광객이 늘거나 교통체계가 개선돼 가격이 오른 지역도 있었다. 시도별로 봤을 때 대구(12%)와 제주(9.4%), 경북(7.7%), 광주(7.1%) 오름폭이 상대적으로 컸다.국토부 관계자는 "지난해 주택담보대출비율(LTV)ㆍ총부채상환비율(DTI) 합리화, 재건축ㆍ재개발 규제개선 등 과거 시장과열기에 도입했던 부동산시장과 관련한 규제를 정상화하는 쪽으로 추진했다"며 "수도권 공동주택가격이 지난해 하락에서 올해 상승세로 전환하고 거래량도 늘었다"고 설명했다.공동주택가격이 떨어진 곳은 세종(-0.6%)과 전북(-0.4%) 둘뿐이었다. 세종시는 행정중심복합도시 인근 지역에 새로 공급되는 물량이 늘면서, 전북은 군산산업단지 내 기업경기가 전반적으로 침체된 데다 신규 아파트공급이 늘면서 값이 떨어졌다는 게 국토부 측 설명이다. 시군구별로 보면 252개 지역 가운데 231곳이 올랐으며 18곳이 떨어졌다. 3곳은 변동이 없었다.가격수준별로는 2억원 이하 주택이 2.7~3.6% 올라 2억원이 넘는 공동주택보다 상승폭이 컸다. 이는 최근 수년간 이어지고 있는 현상으로 유비지 부담이 큰 대형주택에 대한 선호도가 줄어든 가운데 소형주택이 처분하기 쉬워 찾는 사람이 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저가주택은 가격변동이 크지 않은 반면 고가주택은 경기변동에 따라 가격 역시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시대상 공동주택 가운데 6억원 이하가 1143만여가구로 전체의 98.3%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전용면적별로 보면 85㎡ 이하가 1005만여가구로 86.4%에 달했다.최대열 기자 dychoi@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최대열 기자 dychoi@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