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경남혁신센터 통해 메카트로닉스 허브 구축'(종합)

[아시아경제 신범수 기자] 정부와 경상남도, 두산그룹이 힘을 모아 경남 창원시를 '메카트로닉스(기계공학+전자공학)'와 세계 물산업의 허브로 집중 육성한다. 박근혜 대통령은 9일 경남창원과학기술진흥원에서 열린 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식에 참석해 "최근 기계산업은 스마트 혁명이라는 변혁기를 맞고 있는데, 경남 혁신센터가 창의와 혁신의 아이콘이 되어서 대한민국 제조업의 패러다임 혁신을 선도해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박 대통령은 "창원은 전국 최초로 창원시와 마산시, 진해시가 자율적인 통합을 이뤄낸 화합의 상징과 같은 곳"이라며 "통합의 아이콘인 창원에서 이제 창의와 융합의 불길이 크게 타올라서, 동남권 제조업 혁신 3.0의 전진기지가 될 것으로 믿는다"고 강조했다.경남 혁신센터의 역할에 대해 박 대통령은 "세계적인 정보통신기술(ICT)과 강력한 제조업 기반을 가지고 있는 우리가 업종 간 창의적인 융합을 이루어낸다면, 모두가 깜짝 놀랄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해낼 수 있을 것"이라며 "세계 최고의 해수담수화 기술을 기반으로 대체수자원이 신성장동력으로 커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서 세계의 물 문제 해결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함께 살아가는 공생의 방법을 제시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두산그룹이 주도하는 경남 혁신센터는 17개 시도에 설치될 센터 중 9번째로 출범하게 됐다. 앞으로 메카트로닉스와 물산업 육성을 통해 경남 지역 특색에 맞는 맞춤형 창조경제 생태계를 조성하는 역할을 맡는다. 기계와 ICT을 융합하고,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협력하며 장년의 노하우를 청년에게 전수하는 '트리플 융합'을 통해 제조업 혁신 3.0을 선도하는 메카트로닉스의 허브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두산중공업이 보유한 세계 최고의 해수담수화 기술을 기반으로 물산업을 성장동력으로 육성하는 것도 센터의 주된 역할이다. 부산ㆍ충북 혁신센터와 연계해 경남에 풍부한 항노화 천연물을 고부가가치 산업화해 경남 지역 내 균형발전도 도모한다. 이날 출범식에는 홍준표 경남도지사, 박용만 두산그룹 회장 등 130여명이 참석했다. 박 대통령은 출범식 후 센터를 시찰하며 맞춤형 컨설팅 서비스와 시제품 제작 과정 등을 살펴봤다. 현장에서 기계공고 재학생, 전자공학과 대학생, 기술명장, 중소기업 대표 등과 함께 업종ㆍ세대ㆍ대중소기업 간 협력에 대한 이야기도 나눴다. 박 대통령은 이어 경남지역 창업기업인과 금융기관 관계자 등 120여명과 오찬을 함께하며 창조경제 생태계 조성을 위한 건의사항도 청취했다. 박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기존에 잘 갖추어진 기계산업의 기반과 숙련된 기술 인력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우리의 강점인 ICT 기술을 융합해 경남이 새로운 메카트로닉스의 허브로 도약해달라"고 당부했다.신범수 기자 answer@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신범수 기자 answer@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