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자산 중 금융자산, 미국은 70% 한국은 25%

[아시아경제 이장현 기자] 미국과 일본, 영국 등 선진국에 비해 한국은 가계자산 중 금융자산의 비중이 열악해 가계금융자산 형성을 유도하려는 제도적 노력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나왔다.26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가계금융자산 비중은 미국 70.7%, 일본 60.1%, 영국 49.6%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의 가계금융자산은 24.9%로 부동산 등 비금융자산의 편중이 심했다. 연금 소득대체율(은퇴 전 소득대비 은퇴 후 받는 연금수령액의 대체수준)도 한국은 45~50%에 그쳐 국제기구 권고수준인 70~80%에 못 미쳤다.금투협은 고령화·저성장 기조 속에 재정부담을 완화하면서 국민의 안정적인 노후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가계가 스스로 금융자산 축적을 통해 은퇴소득을 확보하는 '자산기반형 복지시스템'을 마련해야한다고 지적했다.한국도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의 경우 영국(ISA)과 일본(NISA) 등 선진국은 연간 납입한도를 500~2500만원 수준으로 높이고 운용소득에 대해 비과세 혜택을 부과하고 있다. 서영미 금투협 연구원은 "가입대상과 투자대상 제약을 최소화해 가계의 적극적 활용을 유도하는 선진국 사례를 감안해 전향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또 과도한 교육비 부담이 노후소득 축적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점을 해소하기 위해 선진국의 학자금펀드(어린이펀드)와 같은 제도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영국과 일본, 미국 등 국가는 학자금펀드를 통해 성인이 되기 전부터 체계적으로 자산관리를 유도하고 있다.개인퇴직계좌에 대해서도 노후 안정적인 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한도 확대와 세제혜택을 강화하고 사적연금의 활용을 유도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서 연구원은 "안정적 은퇴자산 확보를 위해 현재의 원리금보장형 상품 중심(79.9%) 운용구조 변화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이장현 기자 insid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증권부 이장현 기자 insid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