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인허가 1년만에 반등세…'건설·주택경기 회복 전망'

[아시아경제 최대열 기자]지난해 건축 인허가 연면적이 1년 만에 다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파트를 중심으로 한 주거용 건축물의 인상폭이 컸다.1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건축 인허가 연면적은 1억3804만9000㎡로 집계됐다. 앞서 2013년 인허가 연면적보다 8.7% 정도 늘어난 것으로 수도권(10.9%)이 지방(7.1%)에 비해 인상폭이 더 컸다.건축 인허가는 건설ㆍ주택경기를 가늠하는 선행지수로 인허가 면적이 늘었다는 건 앞으로 시작할 공사가 많아질 것이란 의미다. 인허가를 받으면 2년 안에 공사를 시작해야 한다. 인허가 면적이 늘어나면서 향후 건설ㆍ주택경기가 회복세를 보일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지난 2013년 당시 건축 인허가 연면적은 건설경기 침체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11% 이상 줄었지만 1년 만에 다시 반등세로 돌아섰다. 지난해 착공면적은 8.8% 증가한 1억1116만1000㎡, 준공은 15.4% 늘어난 1억3108만㎡로 집계됐다.지난해 각 용도별 허가 현황에서 눈에 띄는 건 주거용 연면적의 인상폭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점이다. 주거용 건축 허가 연면적은 5768만7000㎡로 지난해 수도권이나 지방 모두 늘면서 전년보다 16.7% 늘었다. 특히 아파트(21.9%)를 중심으로 다세대주택(12.4%), 단독주택(9.6%) 등이 고르게 증가했다.주거용 외에 상업용 건물은 3624만㎡가 허가를 받아 전년보다 11.3% 증가한 반면 공업용(1572만9000㎡)과 문교ㆍ사회용(935만9000㎡)은 각각 4.6%, 10.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건축물은 4.9% 늘었다.고층건물에 대한 허가도 크게 늘었다. 지난해 30층 이상 고층 건축물의 허가면적은 675만9000㎡로 전년보다 두배 가까이 늘었다. 오피스텔의 경우 지난해 수도권은 50.3% 늘어난 반면 지방은 35.6% 줄어 대조를 이뤘다.최대열 기자 dychoi@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최대열 기자 dychoi@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