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담보대출 고객 끓는데…은행 '속'도 끓는다지난해 증가폭 6조2000억, 역대 최대치저금리·규제완화·신규분양 호조로 수요 증가65% 거치중인 분할상환, 25%로 늘어나는 고정금리도 90%가 혼합형집값 인상 기대에 무리한 대출, 주택가격 상승 미미로 가계부담만 갈수록 늘어[아시아경제 김철현 기자] 은행의 가계대출 중 주택담보대출이 급증하면서 총체적 난맥상을 보이고 있다. 주택담보대출이 급격하게 늘어나면서 가계가 안고 있는 원금의 덩치는 커져가는데 대출자의 65%는 원금 상환 없이 이자만 내고 있어 금리 변동 리스크에 취약한 상황이다. 여기에 집값은 좀처럼 오르지 않고 있어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이들의 주름살은 깊어졌다. 급증하는 주택담보대출의 3대 리스크라고 할 수 있는 원금, 이자, 주택 가격이 모두 좀처럼 개선의 여지가 보이지 않는 일촉즉발의 혼란스러운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15일 금융권에 따르면 주택담보대출이 우리 경제의 심각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는 가계부채 문제의 '폭탄'으로 터지는 뇌관이 될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우선 규제 완화와 금리 인하 등의 여파로 주택담보대출이 급격하게 늘고 있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주택담보대출 증가폭 역대 최대…다수가 원금 못갚고 이자만 내=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은 전월 대비 6조2000억원이 늘었다. 12월 잔액은 406조9000억원에 달한다. 특히 지난달의 주택담보대출 증가 폭은 역대 최대치다. 종전 최고치는 지난해 10월에 기록한 6조원이었다. 당시는 주택 담보대출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 등 부동산 금융규제가 완화되고 기준금리가 내린 영향을 고스란히 받았다. 그보다 증가 폭이 더 커진 것은 저금리와 규제완화 효과가 지속되고 있는데다가 신규 분양 호조에 따른 중도금 대출 수요가 더해졌기 때문이라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눈여겨볼 점은 주택담보대출이 가계부채 증가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달 가계대출이 한 달 동안 6조6000억원 늘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주택담보대출이 가계부채 증가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무려 94%에 달한다. 문제는 이처럼 주택담보대출 원금이 늘어만 가는데 대출자 다수가 원금은 그대로 두고 이자만 은행에 내고 있다는 점이다.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중 약 65%가 일시상환과 원금 상환을 시작하지 않고 거치중인 분할상환 대출이다. 만기가 돌아오면 빌린 돈을 한 번에 갚거나 연장을 해야 한다는 의미다. ◆기준금리 인상시 이자부담 커져…가계부채 증가 심각= 이 경우 금리 변동 리스크에 그대로 노출될 수밖에 없다. 금융당국이 금리 변동에 영향을 받지 않는 고정금리 대출 비중을 25%까지 올리겠다고 나선 이유도 이 때문이다. 하지만 주요 시중은행의 고정금리 대출 중 약 90%가 혼합형 금리 상품이라는 점으로 미뤄볼 때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이들의 금리 리스크는 여전히 높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정부가 보는 고정금리 대출에는 3~5년 동안 고정금리를 내다 이후에 최장 30년까지 바뀌는 금리의 적용을 받는 상품도 포함돼 사실상 변동금리 상품으로 봐야 한다는 얘기다. 은행권 관계자는 "혼합형 대출이 고정금리대출 실적에 잡혀 있어 외형상 잘 드러나지는 않지만 일정 기간이 지나면 변동금리 대출로 바뀌는 만큼 가계부채 리스크는 여전히 높다"고 설명했다. 현재는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가 유지되고 있지만 올해 미국의 금리 인상 등 대외 변수에 따라 우리나라의 기준금리가 인상될 경우 더 많은 이자를 부담해야 하는 가계가 그 만큼 많다는 얘기다. 이 같은 상황에서 집값은 좀처럼 오르지 않고 있다. 주택 가격 인상을 기대하고 무리하게 대출을 받은 가계의 부담이 갈수록 늘어 가고 있는 셈이다. KB국민은행이 최근 발표한 주택시장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5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년 말 대비 0.04% 상승하는 데 그쳤다.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지만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이 같은 기간 0.08% 올랐다는 점을 감안하면 상승폭은 미미하다. 김완중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주택금융 규제완화와 금리 인하 등으로 가계부채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데 이런 부분에 대한 부작용이 하나씩 나타날 수 있다"며 "부채상환방식의 변경, 금리인하 등은 근본적인 가계부채 대책이 될 수 없다"고 말했다.김철현 기자 kch@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