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가계대출 10조 돌파..금리 연25%대 '부실 방아쇠 당기나'

연 25%이상 고금리 대출 90% 이상..공격 마케팅이 대출잔고는 27개월만 최고

저축은행 가계신용대출 금리대별 취급비중

[아시아경제 이장현 기자]저신용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저축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이 2년여 만에 처음으로 10조원을 넘어섰다. 문제는 저축은행 가계신용대출 금리가 대부분 연 25%를 넘는다는 점이다. 전체 가계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지만 향후 부실의 방아쇠를 당기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14일 한국은행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지난 11월 말 현재 저축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0조642억원으로 전월보다 3316억원(3.4%) 늘었다. 10조원 돌파는 27개월 만이고 증가율은 은행(1.2%), 신용협동조합(0.8%), 새마을금고(0.7%), 상호금융(0.5%)을 훌쩍 뛰어넘는 수준이다. 저축은행 업계에서는 소액 고금리대출 마케팅을 공격적으로 한 것이 대출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보고 있다. 정부의 담보인정비율(LTV), 총부채상환비율(DTI) 완화조치로 인해 저축은행이 보유하고 있던 주택담보대출 중 일정 부분이 시중은행으로 넘어가자 이를 보완하기 대책이었다.그러나 다양한 대출상품 개발과 금융당국의 지시에도 일부 저축은행의 대출금리는 여전히 서민에게 부담스러운 수준이다.전국 45개 저축은행 중 가계신용대출 금리가 연 25%를 초과하는 대출이 90% 이상 차지하는 곳은 예가람, 웰컴, OK저축은행 등 11곳에 달했다. 영업권별로는 서울을 영업권으로 하는 저축은행이 4곳, 인천ㆍ경기를 영업권으로 하는 저축은행이 4곳, 광주ㆍ전남이 2곳, 전북이 1곳으로 나타났다.특히, OK저축은행은 연 25% 이상 30% 미만 대출이 전체 가계신용대출의 99%를 차지했고 웰컴저축은행도 연 25% 이상 30% 미만 대출이 전체의 98%를 차지했다. 인천ㆍ경기에서 영업하는 모아저축은행도 연 30% 이상 35% 미만 대출이 전체 가계신용대출의 86%를 차지할 정도로 금리가 높았다.이렇게 신용대출의 금리가 높다보니 서민들이 찾는 금융기관인 저축은행이 과도한 금리장사를 한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조연행 금융소비자연맹 상임대표는 "1금융권 대출금리가 연 7% 이하인데 서민금융기관인 저축은행이 가계대출에 연 25%가 넘는 금리를 무는 것은 고리대금업이나 마찬가지"라고 지적했다.그러나 저축은행들은 대출고객이 대부분 저신용자여서 금리 인하에 한계가 있다고 주장한다. A저축은행 관계자는 "직장인 신용대출 등 다양한 상품을 개발하고 있지만 고객이 대부분 신용등급 7등급 이하의 저신용자이기 때문에 실제 나가는 대출의 대부분은 법정 최고금리에 가깝다"고 해명했다.금융감독원은 저축은행의 고금리 장사를 감독하는 한편 신용평가 시스템 고도화로 금리 인하 여지를 넓혀간다는 계획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나이스신용평가, 저축은행중앙회와 함께 여신업무 선진화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하고 저축은행 신용평가 시스템(CSS) 고도화를 준비하고 있다"며 "지난해 말 서면점검을 해보니 중신용등급 고객에서 금리 인하 효과가 나타나는 등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신용평가 시스템 고도화는 금융당국과 저축은행업계가 모든 신용등급 고객에게 획일적으로 고금리를 적용하는 영업행태를 개선하기 위해 추진 중인 사업이다. 80개 저축은행 중 현재 46개사가 이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으며 이중 14개사는 고도화를 진행중이다. 16곳은 자체 신용평가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금감원은 신용도가 금리산정에 반영되면 중금리 대출이 늘어 개인신용대출 평균금리가 최대 2.4%포인트 정도 인하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한편 금융업계에서는 저축은행 가계대출의 부실율이 1000조원이 넘는 전체 가계부채 부실여부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잣대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시중은행의 한 부행장은 "가계대출 부실은 항상 저신용자 및 기업, 제2금융권부터 촉발되기 때문에 저축은행 여신의 부실화 여부를 체크하고 있다"며 "제2금융권 고객들의 이자부담을 낮추는 다양한 노력과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장현 기자 insid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이장현 기자 insid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