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동물 습격…인류에 신종질병 만든다

동물이 옮기는 질병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 절실

▲야생동물로부터 유입되는 질병을 막기 위해서는 사전 경보 신호를 포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사진제공=사이언스/Isabelle-Anne Bisson]

[아시아경제 정종오 기자]야생동물에 의한 신종 질병 감염이 늘어나고 있다. 야생 생태계에 대한 모니터링을 얼마나 정확하고 보다 세밀하게 하느냐에 따라 동물이 옮기는 질병으로부터 인류가 보호받을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최근 에볼라 사태도 야생동물이 인류에게 전염시킨 질병이다. 앞으로 이 같은 사례는 더욱 많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조류독감, 사스, 에볼라 등 새롭게 발견된 전염병의 절반 이상은 동물이 그 원인이었다. 사전에 야생동물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함으로써 이 같은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생태학자들이 강조하고 나섰다. 동물이 옮기는 질병의 경우 지난 60년 동안 더욱 자주 일어나고 있다. 생태학자들은 야생동물과 함께 있는 곳의 사람들은 특히 조심해야 한다고 주의를 촉구했다. 야생동물이 옮기는 질병이 인류에게 확산되기 전에 전조가 나타난다. 공중보건 강화와 함께 야생동물에 대한 전방위적 모니터링을 통해 사전 경고 신호를 파악해야 된다는 것이다. 스미소니언보존생물연구소(Smithsonian Conservation Biology Institute) 연구팀은 야생동물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인류에 새로운 질병이 유입되는 것을 막는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그동안 기록된 150개의 '동물-인간' 간 전염병을 들여다봤다. 지난 60년 동안 이뤄진 과학적 발견과 언론 보도기사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동물이 옮기는 병원균의 경우 인간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다"며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아프거나 죽은 동물들을 통해 충분히 그 징후를 파악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150개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75개의 질병에서 눈에 보이는 징후를 포착했다. 인간에게 급속도로 전염되기 이전에 감염된 동물들에게서 발작, 무기력, 무차별적 공격 등의 징후가 나타났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이들 중 13개의 질병에 대해서만 보고가 됐고 나머지는 사전 경고가 없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질병징후가 포착됐을 때 동물과 인간 사이를 단절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며 "자연과 동물 건강에 있어 이상 신호를 포착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실제로 2001년 콩고와 가봉 지역에 에볼라가 발병했을 때 가봉과 콩고정부 환경당국은 야생동물 지역을 조사했고 모니터링 시스템을 가동했다. 이를 통해 사냥꾼은 물론 다른 동물들에 대한 감염 정보를 파악할 수 있었다. 죽은 동물들에 대해서는 감염 여부를 확인했다. 이를 통해 인간에 급속도로 감염되기 이전에 경고 신호를 내릴 수 있었다. 연구팀은 "야생동물 지역에 대한 조사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모바일을 이용하는 등 가용한 모든 네트워크를 통한 모니터링 시스템이 필요한데 문제는 조사 지역이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는데 있다"고 덧붙였다. 정종오 기자 ikokid@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정종오 기자 ikokid@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