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창환 기자] 녹십자가 2009년 전남의 화순공장에서 국내 최초로 인플루엔자(독감)백신을 생산한 지 5년 만에 누적 생산 1억도즈(1도즈는 성인 1회 접종량) 고지를 넘어섰다.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독감 원액을 생산하기 시작하며 독감백신 자급자족 시대를 열었음은 물론 글로벌 시장을 공략한 결과다. 녹십자는 2009년 이후 지난달 초까지의 독감백신 누적 생산량이 1억도즈를 돌파했다고 13일 밝혔다. 누적 생산량 1억도즈는 녹십자의 독감백신 1회 접종량을 미리 주사기에 채워놓은 제품인 '지씨플루 프리필드 시린지 주'(길이 약 8.5cm 기준)를 일렬로 늘어 놓으면 경부고속도로(416km)를 10차례 왕복할 수 있는 길이다. 수직으로 쌓으면 에베레스트산을 960개를 포개 놓은 높이와도 맞먹는다.독감백신은 미국, 영국, 프랑스 등 10여 개 나라 정도만이 기술을 보유, 전세계 대부분의 국가에 백신을 공급하고 있는 공급자 위주의 구조다. AI(조류인플루엔자)와 신종인플루엔자와 같은 세계적인 판데믹(pandemic, 전염병 대유행) 상황에서 수입에 의존하는 나라는 백신의 확보를 보장받을 수 없다. 녹십자는 독감백신 원액을 국내 최초로 생산하면서 '백신주권'을 확보해, 2009년 신종인플루엔자 판데믹 당시 외국 백신 수급이 원활치 않은 상황에서 신종인플루엔자백신을 국내에 전량 공급했다. 녹십자는 지난 몇 년간 독감백신 국내 유일 생산시설이라는 독보적 위치에 안주하지 않고 글로벌 시장을 공략했다.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해 이 회사는 세계에서 4번째로 세계보건기구(WHO)의 독감백신 사전적격인증(PQ)을 획득했다. 세계 최대 백신 수요처 중 하나인 WHO 산하 범미보건기구(PAHO) 입찰 물량을 대거 확보할 수 있는 원동력이다. 북반구와 남반구의 독감 유행 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녹십자는 독감백신을 연중 지속적 수출하고 있다. 실제로 범미보건기구의 독감백신 입찰은 남반구와 북반구 유행 시기 전에 나눠 열린다. 이에 따라 녹십자는 중남미 30여개 국가에 독감백신을 수출하고 있다. 지난해 녹십자 독감백신 수출액은 280억원에 달했다. 수출을 처음 시작한 2010년 수출액 대비 5배 가까이 늘어난 수치다. 이 상승세가 이어져 올해 독감백신 수출고는 400억원에 달할 것이라고 회사 측은 내다보고 있다.국내시장에서의 입지도 확고하다. 녹십자의 올해 독감백신 국내 매출은 예년치를 웃도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써 올해 녹십자 독감백신 연간매출은 단일제품으로는 지난 2010년 초 신종인플루엔자 백신 매출을 제외하면 창립 이래 최초로 1000억원을 넘길 것으로 예상된다. 2010년 사장에 취임하면서부터 줄곧 수출 중심의 성장을 강조해온 조순태 녹십자 사장의 수출 경영이 녹십자를 글로벌 제약사로의 도약을 이끌고 있다는 평가다. 녹십자 관계자는 "지난달까지의 독감백신 누적 생산량 중 4분의1 정도는 수출을 통해 판매됐고 수출 비중이 점진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며 "중남미 국가들의 EPI(Expanded Programme on Immunization, 예방접종확대계획)의 확대로 내년에도 독감백신 수출 물량이 늘어나 수출 호조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녹십자는 독감백신 부문의 개발 역량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1회 접종으로 4종류의 독감 바이러스의 면역력을 얻을 수 있는 4가 독감백신을 개발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 유통되는 독감 백신은 3가지 독감 바이러스를 예방하는 3가 백신이다.녹십자는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60년 전통의 유정란 배양 방식과 세포배양 기술을 이용한 4가 독감백신을 개발하고 있다. 유정란 배양 방식의 4가 독감백신은 지난달 말에 허가 직전 단계인 임상 3상에 돌입했고, 세포배양 기술을 이용한 독감백신은 내년 초에 임상 3상에 착수할 예정이다. 기존 운영하고 있는 유정란 배양 방식과 판데믹, AI와 같은 외부 위험요인으로 인한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세포배양 방식도 같이 운영하겠다는 복안이다. 녹십자는 이 같은 차세대 독감백신 개발로 4조원에 달하는 글로벌 독감백신 시장 점유율 확대에 나서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녹십자는 4년 후인 2018년에 독감백신 누적생산량이 2억도즈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고, 누적생산량 5억도즈는 2024년에 넘길 것으로 보고 있다. 이창환 기자 goldfish@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이창환 기자 goldfish@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