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재영 코레일 광역철도본부장
오는 15일.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수도권전철이 개통 40년을 맞는다. 1974년, 서울역에서 첫 기적을 울린 수도권전철은 경부선(서울~수원), 경인선(개봉~인천), 경원선(외대앞~광운대) 3개 노선에 29개역, 영업거리 74.1㎞로 운행을 시작했다. 40년이 지난 지금은 경부선, 경인선, 경원선의 연장과 함께 경의선, 일산선, 과천선, 안산선, 수인선, 중앙선, 분당선, 경춘선, 장항선 등 12개 노선 228개역으로 늘었다. 영업거리는 74.1㎞에서 523.3㎞로 7배 연장됐다. 하루에 전동열차 운행횟수는 2410회, 운행거리로는 10만8266㎞에 달한다. 매일 지구를 약 세 바퀴(2.7바퀴) 도는 셈이다. 도시철도도 1974년 서울역에서 청량리까지 서울지하철 1호선이 개통한 이후 서울메트로, 서울도시철도, 서울메트로9호선, 인천교통공사, 공항철도 및 신분당선까지 생겼다. 모두 합하면 수도권 일평균 전동차 이용객은 1100만명에 이른다. 지금 우리나라는 도시철도 전성시대를 맞고 있으며, 규모나 서비스 면에서 국제적으로 모범사례로 꼽힌다. 대량수송, 안전성, 신속성, 정확성, 친환경성 등 수도권전철은 우리나라 수도권의 교통지도와 문화지도를 송두리째 바꿔놓았다. 전철이 놓이는 곳으로 도시는 확장해갔고, 도시와 도시는 하나의 문화권으로 바뀌었다. 천안 학생이 서울로 등교하고, 인천 시민이 강남에서 저녁약속을 하고, 서울시민이 춘천으로 나들이 가듯이 전철이 놓인 곳은 하나의 생활경제권으로 묶였다. 최근 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 개인통신의 발달로 전동차 운행 장애에 대한 소식이 빠르게 전달되지만, 철도는 여전히 지상에서 가장 안전한 교통수단이다. 지난해 발생한 교통사고 중 99.6%는 도로에서 발생했으며, 해양이 0.3%, 철도는 0.07%로 미미한 수준이다. 정시율 면에서도 2011년 99.11%에서 2013년 99.66%로 점점 더 좋아지고 있다. 하지만 올해부터 정시 운행률은 다소 낮아질 것으로 예상한다. 코레일은 열차 운행에 대한 기본 철학을 '빨리'에서 '안전'으로 바꿨다. 지금까지 정시운행과 고객 불편 최소화를 우선시 했다면 올해부터는 '안전 최우선 모드'를 적용하고 있다. 운행 전 철저한 점검은 물론이고 센서나 출입문 이상, 3개의 엔진 중 1개의 엔진에만 이상 신호가 있어도 열차운행을 중지하고 후속 전동열차로 환승하고 있다. 운행이 가능해도 '2차사고 예방'을 위해 해당열차는 차량기지로 회송해 완벽한 검사를 거친 뒤 재투입한다. 수도권전철은 하루에 지구 약 3바퀴를 도는 동안 300만명이 이용하고, 출입문만 267만회 여닫힌다. 그런데 닫히려는 문에 갑자기 뛰어들거나 심지어 가방을 일부러 끼워 출발을 막는 경우도 있다. 또 출입문 사이에 볼펜, 동전, 단추 등 이물질이 들어가면 운행 자체가 불가능해진다. 최근에는 비상시에만 사용해야 하는 수동 열림 장치를 임의대로 조작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이런 상황이 발생할 경우 해당 열차뿐만 아니라 후속열차까지 지장을 받게 된다. 모두의 안전과 약속을 지키기 위해 열차 운행에 지장을 주는 행위다.유재영 코레일 광역철도본부장<ⓒ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