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위안화 직거래 '환전 수수료 줄고 투자 쉬워져'

[아시아경제 박연미 기자] 한·중 정상이 합의한 원·위안화 직거래 시장이 열리면, 달러화를 거치지 않고 거래할 수 있어 금융비용이 준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이다. 중국 금융시장 투자가 용이해져 고전중인 국내 금융사들의 숨통이 트일 것이라는 기대도 있다. 관건은 시장 활성화 여부지만, 지난해 엔·위안화 시장을 열고도 거래 규모가 미미한 일본의 사례를 보면 상황을 예단하기는 쉽지 않다. 직거래 시장 개설로 당장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효과는 환전 수수료 절감이다. 은행에 가면 원화를 내고 바로 위안화를 살 수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달러화 환전 절차가 끼어있다. 고객이 원화를 내면 은행은 이걸 미 달러화로 바꾼 뒤 다시 위안화로 환전해주는 방식이다. 이런 이중 환전 과정을 한 번으로 줄이면 자연히 수수료가 줄어든다. 은행간 거래도 마찬가지다. 지금까지 은행들은 원·달러 시장에서 달러를 사들인 다음 다시 위안화로 환전해왔지만, 직거래 시장이 열리면 이 과정이 한결 간소해진다. 기업 거래에도 일부 이점이 있다. 기업간 거래에선 달러화 결제가 보편적이어서 환전 수수료 절감 효과가 크지는 않겠지만, 종종 중국 기업이 위안화 결제를 요구하는 경우가 있어 이 경우라면 수수료 절감 혜택을 볼 수 있다. 이 때 결제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양국 기업간 거래를 중개할 청산은행도 둘 예정이다. 종전에는 홍콩을 거쳐야 이런 거래가 가능했다. 중국 주식이나 채권에 투자하기 쉬워지는 것도 한 가지 이점이다. 국가별로 자국 금융시장 투자 자격(RQFII)과 한도를 주는 중국은 이번에 800억 위안(약 13조450억원)의 투자 한도를 한국에 내줬다. 심사를 거쳐 선발된 국내 금융사들은 투자 한도를 나눠 받은 다음 현지 시장을 공략하게 된다. 고전중인 국내 금융사들이 위안화 예금과 한·중 통화 스와프 자금 등을 활용해 자산운용에 나선다면, 새로운 기회가 열릴 수도 있다. 반면 기대 효과를 예단하기 어렵다는 경계론도 있다. 위안화 수요가 기대만큼 늘어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주장이다. 양국간 무역 결제에서 위안화 비중은 2.3%에 그친다. 한중 교역 규모가 2300억달러에 이르고 중국인 관광객 수가 430만명을 넘어선 걸 고려하면, 상당히 적은 비중이다. 1996년 국내에 개설됐던 원·엔 직거래 시장이 넉 달 만에 문을 닫은 것도 결국 수요 부족 탓이었다. 지난해 일본도 엔·위안화 직거래 시장을 열었지만, 거래 규모는 10~12억 달러 수준에 머물고 있다. 박연미 기자 chang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박연미 기자 chang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