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백종민 기자] "대형 금융회사는 영원히 망하지 않는다는 금융계의 '대마불사' 인식은 변한 게 없다."국제 금융시장에 상당한 영향력을 가진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와 마크 카니 영국중앙은행(BOE) 총재의 진단이다. 금융위기 이후 진행된 규제에도 불구하고 대형 은행들이 여전히 위험하며 개혁에 반발하고 있다는 비판이다.파이낸셜 타임스(FT)에 따르면 라가르드 총재는 27일(현지시간) 런던에서 열린 '포용적 자본주의' 컨퍼런스 기조연설을 통해 은행원들의 만성적인 윤리위반과 경제 불평등 심화로 또 다른 금융위기의 위험이 커지고 있다고 주장했다.금융위기 이후 6년이 지났지만 은행들은 여전히 개혁에 저항하고 많은 보너스를 받기 위해 위험한 사업을 벌리고 있다는 게 그의 판단이다.라가르드 총재는 "금융부문의 행태는 위기 이후로도 근본적으로 바뀌지 않았다"며 "그간의 변화 성과 역시 충분한 만큼 깊거나 광범하지도 못하다"고 진단했다. 그는 대형은행의 '대마불사' 관행도 여전히 해결되지 못한 채 구조적 위험으로 이어지고 있다고도 걱정했다. 금융위기 이후 금융분야의 안전성을 도모하기 위한 세계금융안정위원회(FSB)의장을 맡고 있는 마크 카니 영국중앙은행(BOE) 총재도 같은 행사에서 금융인이 개인의 이익보다는 경제 전반을 건전하게 하는 데 더 노력하라고 촉구했다. 그는 "규제되지 않는 시장이 자본주의에 장기적으로 중요한 사회적 자본(socialcapital)을 걸신들린 듯이 먹어 치우고 있다"면서 금융인이 "이기심에서 벗어나 (사회) 시스템에 더 신경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카니 총재는 "금융인이 사회적 신뢰를 되찾는 것이 필요하다"고 거듭 촉구했다. 한발 더 나아가 '대마불사'급 은행의 문제를 서둘러 해결해야 한다는 게 그의 판단이다. 이같은 발언은 은행들에 대한 규제를 더욱 강화하겠다는 정책적 의지를 표명한 것으로 FT는 해석했다.런던 금융특구 시티오브런던 시장과 EL로스차일드가 주관하는 이번 회의에는 영국 왕실의 찰스 왕세자와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 등 각국 인사와 기업인 등 250명이 참석했다.백종민 기자 cinqang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백종민 기자 cinqang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