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는 청년' 일터로 끌어들이려면…

청년고용 활성화방안 세미나[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박근혜정부가 강조하는 청년고용률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20~24세 청년층이 정책의 핵심대상이 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또 30~34세는 여성의 경력단절이 발생하는 시기인 만큼, 고용률을 높이기 위한 정책보다는 제도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신종각 고용정보원 고용조사분석센터장은 21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청년고용 활성화방안 세미나'에서 "청년층 고용문제는 청년 전체를 하나로 놓고 접근하기보다 연령대상별로 구분해 차별화된 방식으로 풀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지난해를 기준으로 한 우리나라 청년고용률은 39.7%로 2000년대 들어 가장 낮은 수준이다. 특히 15~24세 청년층 고용률은 24.2%로 네덜란드(63.3%), 영국(50.0%), 캐나다(54.5%), 미국(46.0%), 일본(38.5%) 등에 훨씬 못 미친다.신 센터장은 청년층을 15~19세, 20~24세, 25~29세, 30~34세 등 4개층으로 분류하고 20~24세 청년층을 고용정책의 핵심대상으로 꼽았다. 4개층으로 나눠 살펴본 고용률은 각각 6.1%, 44.4%, 69.3%, 73.0%다. 신 센터장은 "20~24세 고졸이하 저학력 비경제활동인구, 전문대졸 남성, 대졸 여성 등 취업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며 "일학습병행정책, 선취업후진학 정책을 강화하고 해당 층을 대상으로 한 중소기업 취업여건을 개선할 것"을 제언했다. 25~29세 청년층에 대해서는 고졸이하 비경제활동남성 중심의 유인정책을 수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 센터장은 "이 연령대의 취약계층은 고졸이하 비경활남성으로 절반이 놀고있다"며 "유인정책과 동시에 미스매치 해소를 위한 정책을 병행해야 한다"고 설명했다.청년층 가운데 가장 높은 70%대 고용률을 나타내고 있는 30~34세 청년층은 고용률 제고를 위한 정책보다는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 연령대의 취약계층은 전문대 졸업 여성으로 이는 결혼 등에 의한 경력단절 영향이 큰 것으로 파악됐다. 신 센터장은 "시간제 활성화, 남성육아휴직 등 일가정 양립 제도 개선과 함께 미스매치를 해소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가장 고용률이 낮은 15~19세 청년층은 한국의 교육현실 상 대부분 학업을 진행하고 있어 경제활동인구로의 유입이 어려울 것으로 분류됐다. 세종=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