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정부1년]국민체감정책 중요성 강조한 1년.. '이제는 성과다'

국정 자신감 붙는 2년차.. '국정철학 공유' 기반에 '성과' 도출 주력

[아시아경제 신범수 기자] "어떻게 이럴 수가 있어요?" 충격을 받은 박근혜 대통령이 말했다. "또요, 또 뭐가 있죠?" 박 대통령은 수첩을 꺼내 열심히 받아 적었다. 그리고 "이건 꼭 해결해야 한다"며 수행했던 참모진에게 지시했다. 누구도 해결할 생각조차 하지 않던 그 일은 그렇게 풀려나갔다. 대통령 후보시절이던 2012년 늦여름, 박 대통령은 전방을 찾아 현지 하사관 부인들과 대화를 나눴다. 그들의 이야기는 충격 그 자체였다. "주변에 산부인과가 없어서 진찰 한 번 받으려면 시외버스로 2시간 반 나가야 해요", "학원이 있나요 뭐가 있나요. 우리 아이들은 대학 꿈도 못 꿔요. 우리가 무슨 죄를 지었길래….", "그래요, 우리는 없어도 되는 인간들인가요…."곧 이은 선거에서 승리해 청와대에 들어온 뒤에도 박 대통령은 그날 일을 잊지 못했다. "국가를 위해 전방 산골을 전전하는 군인 가족들이 이런 대접을 받아선 안 된다." 박 대통령은 후속조치를 직접 챙겼다. 대통령이 관심을 갖자 대기업이 움직였고 그들의 후원으로 하사관 숙소 근처에 공동육아시설이 하나 둘 들어섰다. "어떤 대단한 보고서보다 대통령은 그 소식에 기뻐하고 너무 좋아했다"고 대통령을 보좌하는 핵심 참모가 말했다. 박 대통령이 해외순방을 가거나 지역순시를 돌 때 '민원비서관'을 반드시 대동하는 건 이런 현장의 애로사항을 해결하는 데 큰 의미를 두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대통령한테까지 전달될 수 있었던 그런 민원 몇 개 해결해서 뭐가 달라질까. 대통령이 할 일은 그런 게 아니지 않나 생각이 들 수도 있다. 그럼에도 박 대통령의 이런 행보를 지속한 것은 '어떤 것이 국민의 피부에 닿는 정책이며 정책의 우선순위는 무엇인가'를 공직사회에 보여주기 위함이었다. 그리고 대통령의 '국정철학'을 공유한 공직사회가 곳곳에서 이 같은 '체감형 정책'을 펼치기 시작한다면 '국민행복시대'는 이상적 구호에 그치지 않을 것이란 게 박 대통령의 생각이다. 최근 들어 박 대통령이 '피부에 와 닿는', '국민의 눈높이에서'라는 말을 자주 하는 것도 이런 맥락이다.  "어떻게 하면 국민들이 체감할 건가를 밤낮으로 최선을 다해야 노력을 해야 우리가 어떤 성과를 볼 수 있다." (2월 10일 수석비서관회의)"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그런 일자리 대책을 펴 나가야겠다." (2월 11일 일자리ㆍ복지 분야 업무보고)"사명감을 가지고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살아 있는 정책을 만드는 것이 바로 여러분의 책무다." (2월 13일 교육ㆍ문화 분야 업무보고) 박 대통령이 오는 25일로 취임 1주년을 맞는다. 그간 북한 문제를 비롯해 나라 안팎에서 굵직한 일들이 많았지만 지난 1년은 '국민 체감형 정책을 위한 기반 조성'이란 말로 간단히 압축된다. 그리고 이제 본격적인 성과를 낼 때라며 박 대통령은 연일 공직사회에 채찍을 가하고 있다. 국정에 대한 자신감이 붙는 2년차. 박 대통령의 이런 '마이웨이'가 생각한 대로 성과를 낸다면 우리는 2013년보다 나은 2014년, 그리고 더 나아진 2015년을 맞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나를 따르라"는 대통령의 한 마디에 전 국민이 머리띠를 두르는 시대에 살고 있지 않다. 다른 생각, 다른 이해관계 심지어는 다른 인종이 뒤섞인 다원화 사회가 대한민국이다. 박 대통령의 국정운영 방식이 '군사적 일사분란'을 전제로 한 것이라면 그 방향의 맞고 틀림은 어쩌면 부차적 문제가 될지 모른다. 지난 1년 우리는 우리 사회를 휘감은 그런 징후를 여러 차례 목격했다. 비판을 수용하는 것을 '원칙에 대한 훼손'으로 보지 않고 '발전적 진화의 과정'으로 삼을 줄 아는 지혜에 박근혜정부 2년차의 성공과 대한민국 국민의 행복이 달려있다.
신범수 기자 answer@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신범수 기자 answer@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